매일신문

윤곽 드러난 대구시 조직개편

대구시의 조직 개편안이 윤곽을 드러냈다. 전체적으로는 시민들이 안심하고 안락하게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환경·녹지 등 업무를 강화하는 것을 기조로 했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또 기구 일부를 축소, 남는 인력은 유니버시아드 확정 이후 그 업무에 투입할 전망이다.

그러나 시안은 꼭 필요한 몇몇 개편을 사소한 이유로 포기, 여전히 불완전한 개편이 될 가능성이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무선의 조율을 끝낸 이 개편안은 시장의 최종 결재를 받는대로 이달중 발표될 예정.

국(局)의 경우, 현재의 사회복지여성국을 분할, 4급직의 여성정책담당관을 신설해 여성 업무를 분리해 내도록 했다. 남은 것은 복지국 형태가 될 전망. 그러면서 환경보건국에서 보건과·위생과를떼어 내 이 복지국에 넣을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복지국은 복지과·위생과·보건과 등등으로 이뤄지고, 종전에 있던 청소년과는 문화체육국으로 넘어 가도록 돼 있다.

환경보건국은 2개 과를 넘겨 주는 대신, 그동안 건설주택국에 소속돼 있던 하수과를 넘겨 받고,청소과를 청소행정과 및 청소시설과로 분리 확대할 예정이다. 또 환경정책담당관실을 없앤 뒤 현재의 환경관리과와 통합할 예정. 결과적으로는 환경과·청소과2개·하수과 등으로 구성되는 셈.하수과를 건설국에서 넘겨 온 것은 환경부 업무와의 일치나 업무 전문성으로 보더라도 때늦은 감이 있을 정도로 잘한 조치로 평가된다. 그러나 올연말 혹은 내년초엔 현재 환경부가 맡고 있는공단지역 업체 환경 관할권이 시도로 이양돼 올 가능성이 높아, 그럴 경우 환경과의 업무가 지나치게 비대해지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도시계획국도 도시녹지국으로 변모토록 돼 있다. 현재의 도시관리과를 건설주택국의 건축과에 통폐합시켜 넘겨 주고, 대신 공원녹지과를 공원과와 녹지과로 분리·확대할 계획. 마지막에는 도시계획과·공원과·녹지과·지적과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그외, 현재 경제국 국제협력과에서 맡고 있는 외국자본 도입 업무를 기획관리실의 예산담당관실로 이관키로 한 것도 업무 일원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획관리실에는 정보화를 관장할과(課)도 하나 신설된다.

경제국 업무도 조정돼, 공단조성 및 관리 업무를 일원화해 경제운영과를 신설키로 했다. 교통국교통운영과가 대중교통과로 바뀌면서 계(係)가 시내버스계·택시화물계로 바뀌는 한편 버스를 관리할 계가 별도로 하나 신설 보강된다. 교통정책과에도 지하철계가 추가될 예정. 감사실은 과(課)가 폐지된 뒤 계의 이름도 1계·2계 식이 아니라 업무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변경된다.가장 문제가 된 부분은 도로과. 도로는 교통을 위해 만드는 것인 만큼 당연히 교통국 산하로 옮겨져, 도로 건설과 운영이 일원화돼야 한다는 것은 이미 공통된 의견. 대구시 조직 관리자도 이점은 인정했다. 그런데도 이번 조직개편안에서는 그대로 건설국 산하에 눌러 두기로 했다. 도로과를 넘겨 줄 경우, 건설주택국이 너무 축소된다는 이상한 이유 때문.

그러나 건설주택국이 축소되더라도 방향이 맞다면 그렇게 해야 하고, 그런 다음엔 건설국에 주택·건설·건축 업무만 남게 되므로, 그 산업적 측면을 고려해 '산업건설국'으로 통합하는 것이 맞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국도 종전 지역경제국 한개이던 것을 경제국과 분리·확장하느라 사실상 업무가 너무 빈약하다는 비판이 심각하다.

〈朴鍾奉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