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설사업 부족에 따른 레미콘 업계의 불황이 계속되면서 일부 업체가 레미콘을 원가 이하로 덤핑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공사 부실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특히 상당수 지역 중대형 건설업체들이 레미콘 회사 난립과 공급 과잉을 악용해 노골적으로 덤핑 판매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레미콘 회사 출혈을 가중시키고 있다.
레미콘 업계는 지난 97년 공장 평균 가동률이 42%였으나 98년에 26.5%로 떨어졌고 올들어서는 20% 유지도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일부 레미콘업자들이 경영손실을 감수하면서 건설업체에 고시가격의 70%대에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레미콘 업계와 건설업계는 작년 하반기 공급가격을 고시가의 80%선으로 합의했으나 불과 3개월만에 이같은 합의가 깨지고 말았다.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레미콘 원가에 대한 계산 기준이 모호해 고시가격 자체에도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가 적정 가격을 정해 이를 지키는 것이 부실시공을 예방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全桂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