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어귀의 라일락이 보라색 향기를 뽐어대기 시작하는 5월, 가정의 달입니다. 이 아름다운 5월에 한 사람의 아름다운 '동네 엄마'를 만났습니다.
그 사람은 크게 가진 것도, 자랑할 것도 별로 없는 평범한 30대 주부, 임정은(대구시 동구 율하동)씨입니다.
임씨와 기자는 같은 성당에 다니기에 알고 지내는데 자칫 조심스러울 수 있는 얘기를 꺼내는 사연은 이렇습니다.
며칠전, 한창 몰려다니기 좋아하는 중학생 아들과 친구 몇 명이 점심을 먹으러 왔습니다. 무심코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임씨가 같은 집 2층에서 아버지와 함께 사는 두 중학생 형제(형은 아들의 친구)의 도시락을 매일 싸준다는 얘기였습니다.그 형제는 지난해 겨울 산업도로변에서 교통사고로 변을 당한 마리아 자매의 아들들이었습니다. 남의 일이라 쉽게 잊었던 그들의 일이 어제 일처럼 또렷하게 생각났습니다.
어느 날 마리아 자매의 장례식에 다녀오신 어머니는 "그 장례미사에서 울지 않은 사람은 한 명도 없다"며 "그저 순하고 양심적으로 보이는 자그마한 아버지와 두 아들이 나란히 영정 앞에 선 것을 보니 그렇게 눈물이 나더라"고 집에서도 울먹이셨던 그날의 기억 말입니다.
그리고는 잊어버렸던 것이죠. 어머니를 잃고 상심한 그애들이 상처한 아버지와 어떻게 사는지, 엎어지면 코 닿을 데 살면서도 관심 한번 나타낼 엄두조차 못냈던 것이지요.
그런데 임씨 가족이 성당 옆에서 율하동으로 이사를 오면서 그 형제들도 같은 집 2층으로 이사를 따라왔습니다.
한 지붕 아래 위층에 살게 된 날 이후로 임씨는 학교 가는 날이면 도시락을 세개씩 쌉니다. 하나는 아들 것, 두개는 마리아 자매의 아들 것….
"마리아씨가 중환자실에 누워 있을 때 혼자 마음속으로 약속을 했거든요…"
임씨는 그 말 한마디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백 마디 말보다 더 큰 마음을 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성의에도 불구하고 마리아 자매의 작은 아들은 어린이날 병원에 입원했었습니다. 왜 병원에 갔느냐고 물으니까 태연스레 말했습니다.
"창자가 꼬였데요…"
제 전화소리를 듣던 어머니의 "끌~ 끌~" 혀차는 소리가 들리던 그날 밤, 별빛은 서럽도록 아름답게 빛났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