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총재인 김대중대통령과 이회창한나라당총재간의 단독회담을 내주 중 갖기 위한 협상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정국타개로 이어질 지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야는 국정조사와 특별검사제 등 정국 현안들을 놓고 팽팽히 맞서있어 회담 전망은 물론 그 성사 가능성 조차 낙관하기가 쉽지 않다.
총재회담 추진 움직임은 17일 3당 총무접촉에서도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부영한나라당총무는"총재회담에선 국정조사와 특검제 등에 대해 일괄적으로 얘기하게 될 것이며 이를 위한 실무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회담의제 등을 사전조율하기 위한 양 측간 협상 채널이 다각도로 가동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박준영청와대대변인도"여야간 합의 후 당에서 건의해 오면 회담을 받아 들이겠다"고 밝혔다.
총재회담 쪽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데는 남.북한간 교전상황으로 까지 치달은 서해 사태가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즉 국조권과 특검제를 놓고 첨예한 대립을 계속해 온 여야는 안보위기 상황이 발생하면서 여론을 의식, 타협을 통한 정국 정상화 쪽으로 일단 한 걸음 물러섰다. 물론 서해 사태와 관련, 초당적인 대처를 다짐했던 지난 16일의 청와대 여야 총재회동도 이같은 분위기를 조성한 셈이다.
하지만 총재회담을 통해 현안들이 일괄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은 아직 속단키 어려우며, 때문에 양 측 일각에선" 여야가 여전히 특검제 등 현안에 대해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에서 성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회담을 굳이 강행할 필요가 있느냐"라는 비판론도 일고 있다.
또 한나라당이 18일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조기 회담 개최 여건이 마련돼 있지 않다며 경계심을 나타낸 것도 조기 개최에는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총재는 이와 관련, "구체적으로 이야기가 오가지 않았다"며 "여당이 정국의 돌파구로 이야기하는 것 같다"고 했고 안택수대변인도 "회담을 위해서는 실무선에서 상당한 조율이 전제돼야 하는데 아직 없다"고 말해 시간이 더 필요함을 내비쳤다.
그러나 양 측 일각에선 대치정국 장기화에 따른 정치적 부담 등을 의식한 타협론도 일고 있어 조율의 분위기는 마련돼 있는 듯하다. 한나라당에선 옷 로비의혹까지 포함시키는 선에서 절충하는 방안을 당 차원에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에서도 단독 국조에 따른 비난 여론 등을 의식, 전면적인 특검제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개진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