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지역에 일본제품들이 대거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재 유통업체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본제품에 대한 대구시민들의 선호도는 어느 정도일까대구백화점이 5,6월 두 달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시민들의 일본제품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일제 캠코더의 경우 매출액 비중이 75.3%로 국산보다 3배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TV는 일제의 매출 비중이 24.3%, VCR은 16.7%, 오디오는 13.7%를 차지했다.
29인치 이상 대형TV와 100만원대 이상 오디오시장의 경우는 일제의 매출액 비중이 33%로 고가품일수록 일본제품 점유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채는 일제 50.6%, 미국제 39.3%, 국산 10.1% 등의 순으로 일제가 국산의 5배를 넘었다. 골프의류는 국내 9개 브랜드의 매출비중이 65%인 반면 일제는 3개 브랜드만으로 35%를 차지했다.
이밖에 도자기류는 국산(26.2%)과 일제(25.6%)가 비슷했으며 화장품의 매출 비중은 아모레 등 2개 국산브랜드가 11.2%, 일제 시세이도 1개 브랜드가 7.1%였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