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대통령은 5일 새벽(이하 한국시간) 필라델피아에서 자유메달을 수상한 뒤 미국 독립선언서를 채택한 콘그레스홀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준비중이고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베이징(北京) 회담이 결렬됐다. 이런 교착상태를 타개할 방안이 있는가.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확고한 원칙이 있다. 도발로 나오면 단호히 대응한다는 것이나 포용정책기조는 흔들리지 않게 가져간다는 것이다.
그런 태도로 서해 교전에서 이기면서 확전은 막았다. 북한은 예측할 수 없는 나라다. 영국의 처칠은 구 소련을 알 수없는 나라라고 했지만 북한은 더 그렇다. 그래서 일희일비하면 안된다. 우리는 서독과 동독의 통일과정에서 배울 점이 있다.동독은 간첩 기욤을 동방정책을 편 서독의 브란트 수상실에 보좌관으로 침투시켜 결국 브란트를 실각시켰지만 그후의 정부도 흔들림없이 동방정책을 펴 통일을 이루었다. 한국도 확고한 안보를 바탕으로 화해정책을 펴려는 것이다. 그러면 북한에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 점에 대해 클린턴 미대통령과의 이번 정상회담 및 윌리엄 페리 대북정책조정관과의 면담에서 충분히 논의했다.
김 대통령은 20여분간 진행된 회견에서 국내외 기자들로부터 정치와 종교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로 질문을 받고 답변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수락연설에서 과거 고난을 받을 때 기독교 신앙으로 이겨냈다고 밝혔는 데 정치와 종교의 관계는.
▲정치와 종교는 원칙적으로 무관하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에 종교는 영향을 미친다. 미국인들의 기본윤리는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도덕심에 기독교가 큰 영향을 끼쳤다. 한국은 아직 거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모든 종교가 서로 사이좋게 지내고 같이 모여서 사회정의, 인권문제 등을 협의하는 등 평화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야외 수상 행사장 주변에 수명의 한국교포들이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하는 피켓 시위를 했는데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한가.
▲국가보안법에 독소조항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래서 이 법을 대폭 개정하거나 독소조항이 없는 다른 법으로 대체하는 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이 법 위반 혐의로 30-40년간 구속된 장기수를 대부분 석방했다. 오는 8월 광복절때도 국가보안법위반으로 구속된 사람을 상당수 석방할 작정이다.
-오늘 받은 상금 10만달러는 어디에 쓰나.
▲아.태평화재단에 기부해 이 재단이 추구하는 세계 인권운동 등에 사용토록 하겠다.
(필라델피아)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