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퍼백' 북의 대표주자인 추리 공포소설의 종주국은 영국과 미국. '프랑켄슈타인'을 쓴 영국작가 메리 셀리(1797-1851)와 미국 시인이자 소설가인 에드가 앨런 포우(1809-49)가 1세대격. 특히 포우는 추리소설의 시조로 평가되고 있고 '모르그가의 살인' 등 작품은 추리소설의 고전에 속한다. 브램 스토커와 코난 도일, 애거사 크리스티, 앨러리 퀸 등이 2세대로 계보를 잇고 있다.
독자들이 추리소설에 다시 열광하게된 것은 1940-50년대부터다. 세계적인 추리전문 잡지의 등장이 여기에 일조했다. 41년 '앨러리 퀸 미스터리 매거진'(AQMM)과 56년 '알프레드 히치콕 미스터리 매거진'(AHMM)이 창간돼 추리붐을 조성했다. 추리의 본고장인 영국의 '범인찾기'같은 고전적 탐정소설에서 탈피해 미국은 공포추리, 법정추리, 의학추리, 모험추리, 과학추리 등 영역을 다양하게 넓혀 왔다. 이후 60-70년대부터 활발한 활동을 해온 작가로는 '펠리칸 브리프'의 존 그리샴, 과학추리 '쥬라기공원'의 마이클 클라이튼, 심리 서스펜스의 거장으로 모던 호러물의 대표작 '사이코' '악령'등 을 쓴 딘 쿤츠, 의학스릴러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로빈 쿡, '양들의 침묵'의 토머스 해리스 등으로 추리소설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한편 일본은 미국과 영국에 못지않은 추리소설의 왕국. '유령클럽'의 아카가와 지로, '미로관의 살인사건'의 아야쓰지 유키토, '링'의 스즈키 고지 등 두터운 층을 이루고 있다.
徐琮澈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