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수리도 전문회사 형태로 발전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물론 뛰어난 기술을 갖춘 숙련공 육성이 전제돼야 합니다"
대구시 동구 신천동 태성당 대표 장태호씨(38). 그의 손을 통해 새 생명을 얻는 시계는 하루 평균 50~60개. 외환위기 이후, 고장난 시계를 고쳐 쓰는 사람이 늘었다. 때문에 요즘은 시계 판매 수입보다 수리로 버는 돈이 더 많다.
특히 최근 선반작업실을 마련, 다른 시계 전문가들의 벤치마킹 방문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85년 기능올림픽 시계수리부문 금상을 수상한 장씨는 목발이 없으면 거동이 힘든 장애인. 지난 96년부터 운영하다 외환위기로 지난해 초 문을 닫은 '21C시계연구원'을 다시 열어 장애인, 복지시설 아동들에게 기술을 가르치는게 그의 소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