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신당 창당작업과 관련, 창당발기인 구성은 어떻게 돼 가고 있는가.
청와대와 국민회의는 오는 10일 발기인대회를 앞두고 당초 6일로 잡혔던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간의 발기인 선정 협의를 1~2일 늦추기로 하는 등 막판까지 진통을 겪고 있다. 저명 인사들중 상당수가 고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발기인 영입을 위해 청와대는 특히 재야.시민단체에, 당은 전문가 그룹에 주력하고 있다. 양 측은 김대통령과 이대행간의 협의에 앞서 각각 15~20명 정도의 명단을 확정키로 했다. 당내의 발기인은 당 8역을 제외한 원내 당직자들로 이뤄진다는 것.
발기인의 규모는 30명 정도이며 외부 인사들이 대다수를 차지할 것이란 당초 예상과는 달리 당내.외 인사가 같은 비율로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해 놓고 있다. 거론되는 당외 인사들론 이재정 국민정치연구회이사장, 이창복 민주개혁국민연합대표, 한명숙 전여성단체연합대표, 장명국 전YTN사장, 심형래 영화제작자, 신문선 축구해설가, 이돈명 변호사, 이종훈 중앙대총장 등이 있다. 당내에선 이종찬.김근태.노무현.서석재.장을병 부총재와 김민석.추미애의원 등이 꼽힌다.
이와 관련, 이대행은 6일 "청와대와의 조율을 거쳐야 하는 만큼 아직 구체적인 명단을 밝히기는 어렵다"며 "영남권에서 참여 인사들이 저조해 고심"이라고 덧붙였다.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 중 주목을 받아 왔던 이수성 민주평통수석부의장과 한완상 전부총리는 발기인에서 배제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특히 이부의장의 경우 청와대 측에서 참여시키기 위해 막판까지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당 측 명단엔 일단 빠져 있다.
이대행은 "대구.경북의 경우 지역정서 때문에 영입하기가 어렵다"며 "한때 경제계출신 인사를 접촉했으나 자민련 측 사람인 것으로 밝혀져 무산되기도 했다"고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다.
당 측에선 발기인으로 대구의 경우 한 명도 확보하지 못했으며, 경북에선 대학교수 등 2, 3명을 상정하고 있으나 본인들이 소극적이어서 참여 여부가 아직 불투명하다는 것. 때문인듯 이대행은 "지역에선 발기인대회 보다는 내달 10일 창당준비위 구성때 총선출마 희망자들을 중심으로 대거 참여시킨다는 게 목표"라고 밝히기도 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