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철새도래지인 낙동강 달성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달성군이 대구시와 골재 채취를 중단하기로 협의했다가 최근 다시 재개할 움직임을 보여 환경보호를 외면한다는 비난을 사고있다.
대구시 달성군은 달성습지 일부인 화원읍 구라리 등 6개 지구에서 골재채취장을 운영하다 지난 9월 허가시한이 만료돼 대구시로부터 골재채취 허가중단을 종용받았으나 최근에 3개월 간 골재채취 기간을 연장했다. 이에대해 대구시는 달성군이 습지 보호에 동의해놓고 이를 번복했다며 골재 채취를 하지 말 것을 다시 종용, 지자체간 갈등을 빚고 있다.
달성군은 지난 95~96년 구라리 등 6개 골재채취장에서 연간 30~40억원의 순수익을 올렸으나 지난해엔 14억원, 올해는 10억여원으로 수익규모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특히 습지지역인 구라리 채취장에서는 3~5억에 불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곳이다.특히 습지가 파괴된 뒤 수질정화, 호우에 대비한 하천범람 방지 등을 위해 인공습지를 조성하게 될 경우 평당 10만원 이상이 들어 자연적으로 조성돼있는 강변습지를 파괴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지적이다.
한편 경북도 고령군도 달성습지를 형성하는 곽촌지구를 포함, 군내 골재채취장 6곳에 대해 지난 4월 허가시한이 만료됐으나 오는 2001년4월까지 2년을 연장, 골재 139만1천㎥를 채취하기로 했다.
달성군 관계자는 "97년 골재채취업체들과 2년간 262만7천㎥를 채취하기로 계약했으나 지난 9월까지 채취량이 당초 목표의 50%인 138만여㎥에 불과했다"며 "골재채취를 중단하는 경우 세수 감소가 커 내년에도 재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업체들이 이미 기계구입 등으로 10억여원을 투자해놓은데다 다른 지자체에서도 채취를 계속하고 있어 달성군 단독으로 사업을 중단하기는 힘들다"며 "습지보전구역 지정 등 정부차원의 대책이 나와야 군의 입장을 확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계명대 생물학과 김종원 교수는 "하천이 합류하는 습지는 하천 및 주변 생태계에서 가장 예민한 지역이므로 함부로 파헤칠 경우 환경 파괴와 함께 경제적 손실도 엄청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李宗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