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달성습지 골재채취 지자체간 갈등

국내 주요 철새도래지인 낙동강 달성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달성군이 대구시와 골재 채취를 중단하기로 협의했다가 최근 다시 재개할 움직임을 보여 환경보호를 외면한다는 비난을 사고있다.

대구시 달성군은 달성습지 일부인 화원읍 구라리 등 6개 지구에서 골재채취장을 운영하다 지난 9월 허가시한이 만료돼 대구시로부터 골재채취 허가중단을 종용받았으나 최근에 3개월 간 골재채취 기간을 연장했다. 이에대해 대구시는 달성군이 습지 보호에 동의해놓고 이를 번복했다며 골재 채취를 하지 말 것을 다시 종용, 지자체간 갈등을 빚고 있다.

달성군은 지난 95~96년 구라리 등 6개 골재채취장에서 연간 30~40억원의 순수익을 올렸으나 지난해엔 14억원, 올해는 10억여원으로 수익규모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특히 습지지역인 구라리 채취장에서는 3~5억에 불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곳이다.특히 습지가 파괴된 뒤 수질정화, 호우에 대비한 하천범람 방지 등을 위해 인공습지를 조성하게 될 경우 평당 10만원 이상이 들어 자연적으로 조성돼있는 강변습지를 파괴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지적이다.

한편 경북도 고령군도 달성습지를 형성하는 곽촌지구를 포함, 군내 골재채취장 6곳에 대해 지난 4월 허가시한이 만료됐으나 오는 2001년4월까지 2년을 연장, 골재 139만1천㎥를 채취하기로 했다.

달성군 관계자는 "97년 골재채취업체들과 2년간 262만7천㎥를 채취하기로 계약했으나 지난 9월까지 채취량이 당초 목표의 50%인 138만여㎥에 불과했다"며 "골재채취를 중단하는 경우 세수 감소가 커 내년에도 재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업체들이 이미 기계구입 등으로 10억여원을 투자해놓은데다 다른 지자체에서도 채취를 계속하고 있어 달성군 단독으로 사업을 중단하기는 힘들다"며 "습지보전구역 지정 등 정부차원의 대책이 나와야 군의 입장을 확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계명대 생물학과 김종원 교수는 "하천이 합류하는 습지는 하천 및 주변 생태계에서 가장 예민한 지역이므로 함부로 파헤칠 경우 환경 파괴와 함께 경제적 손실도 엄청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李宗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