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대구시 예산편성의 기본방향은 불요불급한 재정지출을 최대한 억제하여 긴축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있다.
그러나 미래에 대비한 정보인프라 구축 사업과 월드컵 축구대회의 차질없는 준비, 지역경제 활성화, 생활환경 투자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분야다.
오히려 2년째 이어지는 긴축재정으로 인해 무분별한 개발투자가 크게 감소함으로써 서민 복지 및 환경부문 사업은 상대적으로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부문별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다.
▨지하철부문
△지하철 1.2호선 건설 및 운영=3천221억
▨도로교통부문
△범물-안심 국도, 유천교-성서공단 4차순환선 등 도시고속도로 건설사업=89억
△삼덕-시지택지, 파동-가창, 공산댐 우회도로, 제2팔달로 등 일반도로 건설사업=762억
△월성택지-월배차량기지, 현풍외곽도로 등 자치구.군 도로건설사업=265억
△자전거 전용도로, 안내표지판 정비등 도로 및 도로시설물관리사업=176억
△대구서부화물역 출자, 시내버스 공동차고지 조성 등 교통시설개선 및 확충사업=157억 ▨지역경제부문
△패션어패럴 밸리, 패션디자인 개발지원센터 건립 등 섬유산업육성사업=417억
△중소기업 상설전시판매장, 대구테크노파크 조성 등 중소기업육성사업=781억
△성서3차 2단계조성 등 산업기반조성사업=676억
△전자경매 시스템 구축 등 유통산업발전사업=13억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화기반 강화사업=15억
△화원읍 농수산물물류센터건립 등 도시근교농업육성발전사업=187억
▨환경녹지부문
△폐기물처리의 고도화=108억
△쾌적한 생활환경조성=92억
△수돗물 공급=1천197억
△하수처리시설 개선 및 확충=1천507억
△공원.녹지시설 확충=64억
△공원시설정비=145억
△도시녹화 및 산림생태기반조성=130억
▨사회복지부문
△저소득주민 생활보호=528억
△시설보호=152억
△제2장애인 종합복지관 건립 등 장애인복지증진=200억
△노인복지사업 확대=236억
△아동 및 유아복지증대=235억
△청소년 건전육성=37억
△여성사회참여 및 불우여성보호=37억
△보훈정신함양=9억
△치매요양병원 건립 등 의료시설 및 시민건강증진=471억
△공공근로사업 등 근로자 복지증진=394억
△일반사회복지증진=11억
▨문화체육부문
△문화예술시설확충 및 예술활동지원=101억
△불로고분군 정비 등 문화유산 보존 및 육성=34억
△국제대회준비 및 체육진흥=715억
△관광산업 육성 및 관광자원개발=12억
▨도시개발부문
△월배비상활주로 토지매입 등 도시구조개편사업=286억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지역사회균형개발=84억
△기타 도시개발=175억
▨방재관리부문
△치수 및 재해대책=132억
△비상대비업무 효율적 처리=18억
△소방시설확충 및 소방관서 정비=69억
△소방장비보강=21억
▨시정관리부문
△1인 1PC 등 시정정보화사업추진=54억
△국공유재산관리 및 근무환경개선=57억
△시민봉사행정실천 및 직무능력향상=67억원 등이다.
한편 내년도에 시행될 주요 특수시책사업은
△두뇌한국(BK)21에 4억6천만원
△국제섬유박람회 개최 2억원
△농수산물 물류센터건립 78억원
△천연가스 사용 시내버스 도입 16억5천만원
△산불진화용 헬기구입 35억원
△제2납골당 건립 17억7천만원
△치매요양원건립 15억7천만원
△이상화 고택보존 6억원
△전자결재등 그룹웨어 기반강화 21억원
△시내관문도로변 정비에 30억원 등이다.
김수열 대구시예산담당관은 "지방세수는 경기회복, 주행세 신설 등으로 내년에 다소 증가할 전망이나 지방채 발행 감소 등으로 재원이 줄어들어 복지.환경위주로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