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산업에서 아웃소싱이라는 말은 아직은 생소한 단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나마 우리가 접하게된 계기가 IMF 이후가 아닌가 싶다. 확장일로에 있던 패션계가 IMF의 와중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조직과 결별을 하게된 사람들 중 홀로서기를 꿈꾸는 사람들에 의해, 또는 소호(SOHO) 창업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어쨌든 아웃소싱, 소호, 재택근무 등은 앞으로의 직장환경에 있어 커다란 흐름으로 자리잡게 될 전망이다.
모든 것을 자신이 해야만 직성이 풀리고, 외부 사람들은 그 과정이나 경로 등을 알아서는 안되는 것으로 일종의 강박관념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그것이 발전을 저해하고 더욱 큰 시너지효과를 거둘 기회를 놓치게 하는 원인이 될 경우가 많다. 이런 성격은 나름대로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게서 두드러지는데 그것이 매번, 하는 일마다 적용될 수는 없는 것이다. 한 조직에서 수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각종 일들을 따로 떼어서 외부에 맡기는 아웃소싱을 적극 활용한다면 시간, 공간, 비용의 절약과 높은 효율을 가져올 수 있고 작업의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큰 기획은 오너가 수립하고 시장조사, 소비자조사, 스타일.원단.생산.판촉.홍보기획 등에서 일부를 떼어 외부의 전문가에게 아웃소싱을 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몇해 전 외국여행때 길에서 보도블록 개수를 하는 인부를 봤다. 장년의 남자 혼자서 보기에 따라 별 일도 아닌 일을 나름대로 몰입하여 매우 정성껏 일하는 모습이었다. 그 후 귀국하여 공공근로사업을 하는 사람들을 보게 됐는데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투입되고 또 그 사람들을 지휘하는 감독도 있었다. 그처럼 간단한 일도 지휘자나 감독자가 없으면 안되나 싶을 정도여서 마치 지진아 집단을 보는 것 같았다. 이제는 우리도 일을 함에 있어 자신을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모든 분야에서 그렇지만 특히 첨단의 패션계에서 먼저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김희.패션 디자이너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