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유권자들은 16대 총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고질적인 지역주의(31.8%)를 꼽았으며 '소속 정당보다는 인물 됨됨이를 보고 투표하겠다'(73.4%)는 반응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총선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후보자의 병역 및 납세실적과 전과기록 공개에 대해서는 '후보 선택에 좋은 준거가 된다'(70.2%)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이같은 사실은 본사가 TBC와 공동으로 여론조사기관인 에이스리서치에 의뢰, 지난 1일 대구.경북지역 만 20세 이상 남녀 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6대 총선 공명성과 부동층 성향에 대한 대구.경북 시도민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특히 조사결과 선거일을 10여일 앞둔 1일 현재 응답자의 53.5%가 '아직 후보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히는 등 선거 중반까지 유권자들의 외면과 무관심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나 부동층을 잡기 위한 후보들의 불.탈법 선거운동이 극심해질 것을 예고하고 있다.
아직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않은 부동층중 45.7%는 '투표 1, 2일전 내지 투표당일 후보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지 후보 결정과 관계없이 응답자의 80.0%가 '투표할 것' 이라고 밝혀 대구와 경북의 예상 투표율은 각각 64%와 72%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 총선의 공명성을 15대 총선과 비교한 설문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난 가운데 응답자의 86% 이상은 '금품제공과 관련없이 소신대로 투표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금품이나 향응을 받겠다'는 응답자가 22.3%로 지난 1월 중순 조사당시 3.0%에 비해 크게 높아져 투표일에 다가갈수록 불법선거운동이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의 공명선거운동 성과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8.6%가 '성과가 있다'고 대답,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16대 총선 문제점으로는 지역주의에 이어 흑색선전, 잘못된 후보 공천, 금권선거 등을 지적했다.
또 공명선거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일로는 국민의식변화, 정치권의 반성과 자정노력, 엄격한 법집행, 선관위 권한강화, 언론의 공정보도, 선거법개정 순으로 꼽았다.
徐泳瓘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