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재단 경선 힘겨루기 가열

총재와 부총재를 선출할 오는 31일의 한나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비주류 측이 공정한 경선 차원에서 이회창 총재의 사퇴를 요구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비주류 측의 요구는 총재와 총장 등 주요 당직을 중립적인 인사로 교체시키는 한편 부총재단에게 실질적인 의결권을 부여토록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한다는 쪽으로 압축되고 있다.

주류. 비주류간의 갈등은 4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총재단회의에서 본격화 됐다. 이날 회의에는 부총재 경선과 관련, '7인 경선 및 2인 연기명 투표' 개정안이 상정된 것이다.

총재와 부총재 출마 의사를 보이고 있는 김덕룡, 박근혜 부총재 등은 "총재단회의에서 밝힌 입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현행 협의제 유지로 규정한 소위 개정안을 '합의제'로 바꿔 부총재단에 실질적인 의결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총재 단일체제가 아니라 사실상의 집단 지도체제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요구인 셈이다.

박 부총재는 "조기 전당대회는 이 총재의 사당화를 겨냥한 것"이라고 비난한 뒤 "지난 총선의 금권.관권 선거의 진상을 규명하는 게 더욱 시급하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총재는 독자적인 당헌.당규 개정안을 당에 제출했으며 이중에는 총재단 회의를 합의제로 하고 12명 이내로 규정된 부총재 중 경선 규모를 9명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 등이 있다. 가능한 한 단기명 투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총재경선 도전을 선언했던 강삼재 의원은 지난 3일 성명을 통해 "이 총재가 총선 후 전국 지구당을 순회하고 있는 것은 사전 선거운동"이라며 "지난 97년 대선 후보 경선과 98년 총재 경선 때 각각 대표서리, 총재권한대행 체제로 선거를 관리했던 만큼 이 총재는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같은 맥락에서 전당대회 업무를 총괄할 하순봉 사무총장도 교체해야 한다는 것.

이 총재 측은 하 총장에 대해선 부총재직 출마의사를 보이고 있어 교체할 수 있다는 여지를 보이고 있으나 이 총재 사퇴 문제는 "국회 원 구성 등 현안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당무를 마비시킬 수 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며 강력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주류 일각에선 총재 사퇴 요구의 절충안으로 오는 25일쯤 후보 등록을 한 직후 선거기간 중 총재 권한대행을 임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같은 양측간 힘겨루기는 오는 9일로 예정된 당무회의까지 가열될 전망이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