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금난 지역경제 '엎친데 덮친격'

영남종금사태가 지역 경제계에 미치는 가장 직접적·즉각적인 영향은 지역 업계의 부실화.

영남종금 업무의 대부분이 기업어음(CP) 할인이며 지역에서 CP를 발행할 정도의 기업규모를 갖춘 곳은 중견업체가 거의 전부라고 봐도 틀림이 없다.

따라서 대출연장이 안될 경우 IMF사태로 인해 어렵게 현상유지를 하고 있는 지역 중견기업의 경영이 어려움에 빠지면 최악의 경우 연쇄 도산의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남종금사태로 인한 파장으로는 먼저 지역기업들이 자금을 공급받을 수 있는 또하나의 원천이 사라진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인가취소까지 가지 않더라도 다른 지역 업체에 인수될 경우 대구에 본사를 둔 업체가 아니기 때문에 자금공급 우선 순위에서 미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영남종금 주주에 대한 충격도 무시할 수 없다. 지난 대구종금 인가취소 당시 대구종금에 출자했던 주주들이 입은 손실을 고려할 때 지역 기업들이 주주로 포진한 영남종금이 사라지는 최악의 경우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자금난에 직면해 있는 지역 화섬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자금조달 창구가 막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영남종금에 자금의존도가 큰 일부 업체들은 대출금조기상환 요구라는 '핵폭탄'이 날아들 것에 고심하고 있다.

직물업체들은 수출부진에다 재고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영남종금이 문을 닫게 되면 시중은행들이 섬유업체를 외면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영남종금에 대출금이 200억~300억원 정도가 되는 지역 백화점들은 자금운용에 큰 지장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업구조개선작업중인 이들 기업들은 부채비율줄이기의 일환으로 상환조건이 변할 경우 이에 맞는 자금융통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인 기업들은 워크아웃 협약에 따라 당장 충격은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업과 채권단 간의 개별 협약에 따라 이미 신규 대출이 중지된데다 대출원리금 상환도 단계적으로 이행해가면 되도록 돼 있다.

워크아웃 중인 (주)우방 관계자는 "영업정지가 돼도 협약에 따라 당장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정상적인 기업들의 신규 대출과 예금 인출이 동결되고 이번 사태가 금융기관 전반에 여파를 미쳐 심각한 자금경색으로 이어질 것으로 지역경제계는 걱정하고 있다.

한 건설업체 간부는 "영남종금 사태로 다른 금융기관의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도대체 기업들이 어디서 자금을 구해야 할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