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정상회담 여야 기대와 전망

정치권은 여야를 떠나 분단 55년만에 처음으로 이뤄지는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한 반도의 냉전 종식 및 평화 정착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했다.

이산가족 상봉 실현 등 정상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주문도 잇따랐으며 한나라당의 경우 남북한간 '상호주의 원칙'을 토대로 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민주당은 남북 정상간의 첫 만남이란 그 자체에 역사적인 의미를 부여하면서 화해.협력.평화 정착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길 바랐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의 재임 기간중 실현된데다 이번 회담이 3단계 통일론, 대북 포용정책 등 김 대통령이 일관되게 견지해 온 대북정책의 결실이란 점을 부각시키 며 회담의 성공적 개최와 차질없는 후속 조치 마련을 다짐했다.

실제로 지난 10일 열린 고위 당직자 회의를 통해 정상회담 이후의 후속조치를 집 중 점검키로 했으며 회담기간 중에는 당직자들이 특별 근무를 하며 당 차원의 지 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회담 결과에 대한 섣부른 낙관이 자칫 국민의 기대치를 지나치게 높일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전망에 대해선 가급적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김옥 두 사무총장도 "이번 회담은 두 정상이 만나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성공"이라면서 도 구체적인 전망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한나라당도 이번 회담이 한반도 평화정착과 평화통일을 앞당기는 데 실질적 인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김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정체성이나 안보를 위협하는 식의 타협을 해서는 안되며 의연하고 당당하게 회담에 나섬으로써 요구할 것과 거절할 것을 분명히 해 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정상 회담이 반드시 상호주의원칙에 입각해야 하며 경제.사회적인 문 제뿐만 아니라 정치.군사 분야에 까지 확대적용돼야 한다"는 기본 입장이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최근 정부 측에 △남북한 기본 합의서의 조속한 이행 △납 북자와 국군포로의 생사확인 및 조속 송환 △ 이산가족 재회와 자유 왕래의 조기 실현 △탈북자 및 북한 주민의 인권개선 △ 핵 미사일 화학무기 등 대량 살상무기 의 개발 중지 및 폐기 등 우선협상 5개항을 주문했다. 권철현 대변인은 "정상회담 에 대한 과도한 흥분이나 기대는 금물"이라고 강조했다.

◎…자민련은 남북한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역사적인 사건으로 규정하면서 이 산가족 상봉 등 구체적인 성과를 얻어낼 수 있기를 기대했다. 같은 맥락에서 신뢰 를 위한 전기를 마련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우택 정책위의장은 "특히 남북한 경제협력 확대를 통해 통일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산가족 상봉이나 실향민간 서신교환, 통신 개방 등 남북한간 민간 교류도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徐奉大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