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강산 일대 경제특구화

현대가 개발중인 금강산 일대가 조만간 특별경제지구로 지정돼 북한의 무역.금융.문화.예술의 중심지로 육성될 전망이다.

또 해외교포를 포함한 외국인의 금강산 관광이 전면 허용된다.

이와함께 서해안 공단부지 후보지로 기존의 해주.남포.신의주 외에 개성이 추가됐으며 북한의 유무선 통신서비스사업에 현대가 참여한다.

김윤규 현대건설 사장은 30일 오후 3시 현대 계동사옥 15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사업내용을 북한측과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현대가 북한과 합의한 '금강산 종합개발 계획'에 따르면 지금까지 관광지구로 한정됐던 금강산 지구는 조만간 특별경제지구로 지정되고 우선 해금강 남단에서부터 통천까지의 지역이 세계적인 무역.금융.문화.예술.환경의 도시로 개발된다.

현대는 또 북한의 요청에 따라 현대가 금강산 지역에 실리콘밸리와 같은 첨단기술 연구개발단지(가칭 '금강산밸리')를 조성하고 북한의 첨단기술 인력을 활용, 첨단기술 연구개발을 공동 추진키로 했다.

현대와 북한은 또 해금강에서 통천까지를 전문가의 현지답사를 통해 세계적인 종합관광단지로 개발한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에따라 금강산 지구는 이르면 7월중에 온정각-온천장-금강산려관을 관광객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자율이동지역'으로 지정되며 관광코스도 내금강과 총석정 등지로 확대된다.

또 금강산 인근 고성항 앞바다에 해상호텔을 설치하고 금강산려관의 장기임대로 관광객 현지숙박이 가능해졌으며 쾌속선 운항으로 관광기간이 크게 줄어들게 됐다고 현대는 밝혔다.

이와함께 고성항 주변 3만5천평 규모의 부지에는 종합편의시설이 설치되며 통천지역에는 골프장과 스키장이 건설된다.

현대와 북한은 서해안공단 부지 후보지로 해주, 남포, 신의주외에 서울과 가까운 개성을 추가, 현지답사를 거쳐 늦어도 10월에는 1곳을 선정하는 한편 사업추진을 위해 정부 등이 참여하는 공동사업단을 7월초 구성하기로 했다.

양측은 또 통천지역에도 3만평 규모의 경공업단지를 건설, 관광기념품과 농수산가공품 등을 생산키로 합의하고 7월중 현지답사를 벌이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