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단인질극"시민단체 앞장

전국 병·의원이 전면 재폐업에 돌입한 11일 시민단체와 시민들은 "의사들의 폐업행위는 국민생명을 담보로 한 '집단인질극'"이라고 분노하며 즉각적인 사태해결을 촉구했다.

특히 시민단체들은 "이제 의사들의 폐업사태는 합리적인 협상과 대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며 의사들의 불법행위를 비난하는 서명운동과 규탄집회를 개최하는 등 범국민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의 신종원 실장은 "이미 우려했던 대로 정부가 또 국민의 주머니를 열어주는 방식을 동원해 대책을 내놓았으나 보기좋게 거부당했다"면서 "의사들의 행동은 '집단인질극'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국민을 상대로 한 테러행위"라고 맹렬히 비난했다.

그는 이어 "이제 국민들의 인내는 한계에 도달했으며 더이상 참아서도 안될 상황"이라며 "시민단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의사들의 불법행동에 대응하기 위한 범국민운동을 전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의약분업 정착을 위한 시민운동본부'와 한국노총,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국민건강권 수호와 의료계의 집단폐업 철회를 위한 범국민대책회의'를 구성해서명운동 및 규탄집회, 손해배상청구소송 원고인단 모집, 항의방문과 차량경적시위 등을 조직적으로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시민운동본부 이강원 사무국장은 "환자의 생명을 치료해야 하는 의료인이 진료거부라는 극단적 행동을 반복하는 것은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외면하고 스스로 의사임을 포기하는 행위"라며 "우리나라가 의사수가 많다고 하지만 아직 선진국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경실련 이석연 사무총장도 "의사들의 집단재폐업은 우리사회내 자정능력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며 국가적 자존심을 훼손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의사들도 우리 사회내에서 입지가 좁아진다는 것을 깨닫고 즉각 현업에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 신상우(22·대구시 황금동)씨는 "의사측 주장에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국민은 의사들이 폐업할 경우 대처할 방법이 없는 약자에 불과하다"면서 "의사들이 이런 식으로 사태를 해결하려 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영복(46·자영업·경북 영주시)씨는 "아내가 1년 전 위암수술을 받고 면역력이 떨어져 매달 1번씩 서울에 올라와 병원을 찾고 있다"면서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지않으면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인데 제발 의사들이 폐업을 끝내 아내같은 환자들이 불안한 마음 없이 정상적으로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