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비상장·금융계열사의 내부지분율이 그룹 전체 계열사의 평균 내부지분율보다 최고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공정거래위원회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4대 그룹 비상장 계열사의 내부지분율(4월15일 현재)은 △현대 84.82% △삼성 80.12% △LG 54.94% △SK 88.62%로 나타났다.
이는 그룹 전체의 평균 내부지분율 △현대 43.2% △삼성 44.5% △LG 43.1% △SK 57.2%보다 최고 2배 정도 높은 것이다.
5-10대 그룹 비상장 계열사의 내부지분율은 △한진 97.68%(그룹 전체 43.4%) △롯데 29.22%(31.2%) △대우 43.10%(9.6%) △금호 99.78%(70.8%) △한화 92.24%(45.7%) △쌍용 58.06%(44.7%)이다.
특히 10대 그룹의 금융.보험계열사 38개중 21개의 내부지분율이 80%를 넘었으며 10개는 100%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지분율이 100%인 곳은 현대 4개(현대캐피탈, 현대선물, 현대기술투자, 현대생명보험), 삼성 2개(삼성벤처투자, 삼성선물)이며 LG선물, SK캐피탈, 한화파이낸스, 쌍용캐피탈 등 4개 그룹이 1개씩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비상장.금융계열사의 경우 총수 1인이 계열사간 순환출자를 통해 과다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후진적인 소유구조를 갖고 있다"며 "금융계열사는 그룹의 자금줄로 다른 계열사에 부당지원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