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치권 사정 방침에 촉각

여야가 정부의 고강도 사정 방침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민주당의 경우 "사회기강 확립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는 등 환영하는 분위기 속에서도 당 소속 인사의 연루 가능성을 우려, 자체적으로 내부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나라당은 검찰 지도부에 대한 탄핵안 등으로 여권이 수세에 몰려온 정국을 반전시키기 위한 "야당 압박용 카드"라고 반발하고 있다.

사실 대규모 사정설은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발표 직전인 지난달 초부터 정가에 나돌았다. 김 대통령이 조기 권력누수 현상을 막고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특히 야당을 겨냥할 것이란 등의 얘기였다. 이 때문에 한나라당은 그동안 사정관련 정보 수집에 주력하면서 내부적으로 대책을 거듭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번 사정은 "올 것이 왔다"는 게 야당의 인식인 셈이다.

반면 민주당은 "이회창 총재까지 나서서 부정부패 척결을 촉구해 왔음에도 야당이 막상 이번 사정 방침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것은 이중성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또한 이번 사정방침에 호응, 내달 착수할 예정인 전국 지구당에 대한 조직정비를 통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인사들을 교체시키겠다고 공언하는 등 정부 측 방침에 힘을 보태주고 있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은 사정의 핵심기관인 검찰과 금감원 등이 최근의 잇딴 비리 사건 등으로 비난 여론에 몰려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이들 기관의 신뢰성과 공정성 문제를 집중 부각시켜 나가기로 했다.

같은 맥락에서 권철현 대변인 등이 나서 "불신받는 검찰이 중심이 되는 사정을 보고 국민들은 웃어야 할 지 울어야 할지 고민" "탄핵표결 사기극으로 정국이 급랭하자 서둘러 진행되고 있는 국면 전환, 내부 단속용, 야당 압박용 등 다목적 사정"이란 식으로 비난하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