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시 전역에 토석채취 허가를 남발, 곳곳의 임야가 능선이 깎이고 잘려나가 산사태 우려 및 경관훼손, 자연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구미시는 현재 도시계획구역인 구미시 오태동 등 6개지역 32만3천㎡를 포함, 무려 11개지역 54만9천㎡에 달하는 토석채취허가를 남발했다.
주민들은 "시가 자연환경보전은 뒷전인 채 세수확대에만 급급, 마구잡이식 토석채취허가로 시 전역이 성한 곳이 없다"며 비난하고 있다.
지난 76년3월 도시계획구역인 구미시 선기동 토석채취장(허가면적 1만6천㎡)의 경우 25년째인 현재까지 복구 되지 않은 채 흉칙한 몰골로 방치돼 산사태 위험은 물론 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다.
시는 이곳 토석채취장에 대해 당시 사업자에게 복구명령을 제대로 하지 않아 앞으로 3억~4억원의 복구비를 시예산으로 부담해야 할 실정이다.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일대 토석채취장은 인근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 허가를 내줘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고, 지난달에도 허가기간이 만료된 구미시 무을면 백자리 토석채취장에 대해 1년간 사업을 연장을 해준 것으로 밝혀졌다.
박모(56.구미시 도개면)씨 등 주민들은 "수년동안 암반발파작업, 골재차량 난폭운전, 소음.먼지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며 "산림전체가 낙반.붕괴.함몰 등으로 자연생태계 파괴가 더 큰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