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는 재임용 심사에서 탈락한 대학교수들이 대학측을 상대로 소송을 낼 수 있게 된다.
대학본부가 정당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재임용에서 탈락시켜도 사실상 아무런 대응을 할 수 없었던 대학교수들이 법적인 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1일 "2002년 1월 교수계약임용제 및 연봉제 시행을 앞두고 대학이 교수 업적평가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재임용 기준과 절차를 마련토록 의무화해 재임용 탈락교수를 구제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담은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안을 이달중 확정, 부처협의를 거쳐 국무회의에 상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개정안은 재임용 기준과 절차를 단과대별 또는 학과별로 마련하되 대학본부가 반드시 2개월 전까지 해당 교수에게 재임용 탈락사실을 통보해 줄 것을 의무화하고있다.
교수 업적평가는 교육·봉사·연구 등 3가지 항목에 대해 실시해 그 결과를 승진, 보수, 정년 보장 심사에 반영하게 된다.
교육공무원 임용령이 이렇게 개정되면 재임용에서 탈락한 교수는 일단 교원징계재심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고, 여기에서도 구제받지 못하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는 법적 근거를 갖게 된다.
재임용 탈락 교수는 76∼93년까지 108명에 그쳤으나 95년 8명, 96년 19명, 97년17명, 98년 26명, 99년 25명이었고 지난해에는 상반기에만 30명이 재임용에서 탈락하는 등 해마다 숫자가 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대구미래대 7명, 덕성여대 5명 등 주로 분규사학을 중심으로 재임용 탈락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