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 테러 직후 유럽 등 세계가 보여준 미국에 대한 강력한 지지와 연대감이 점차 우려와 비난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고 미국 abc 방송이 27일 보도했다.
abc방송은 "9·11 테러 후 유럽을 비롯한 전세계에서 나타난 대미 연대감은 미국의 오만과 독단적인 외교정책 때문에 점차 사그라지고 대신 미국 정책과 미국 자체에 대한 불쾌감과 분노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며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보도했다.
도미니크 무아지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 부소장은 "이제 9·11 당시의 감정은 사라졌다"며 "요즘 프랑스 신문을 읽으면 위협 주체가 미국이라고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악마의 시'로 유명한 소설가 샐먼 루시디도 "런던 시민들이 미국인을 통렬히 비난하는 소리를 매일 듣게 된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의 칼럼니스트 샐리 젠킨스는 쇼트트랙과 피겨 스케이팅에서 논란속에 각각 금메달을 딴 안톤 오노와 사라 휴즈에 대한 국제적인 분노를 예로 들어 이번 동계올림픽이 미국에 대한 세계의 분노를 잘보여줬다고 말했다.
미국에 대한 이런 비난은 전세계가 9·11 테러 직후 보여준 동정심이 사라지고 있음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럽인들은 9·11테러 후 수주 간 미국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런 분위기는 빠르게 변했으며 미국이 유럽 국가와 상의하지 않고 대(對) 테러전쟁을 독단적으로 처리하는데 대한 불만도 높아졌다.
유럽 정치가들은 9·11 테러 후 미국의 외교정책이 더욱 다각화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결과적으로 미국이 힘의 절대적인 우위를 확인하고 더욱 거만하고 독단적인 행보를 보이자 배신감마저 느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