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에서 돈을 꿔서라도 고급.대형 소비재에 지출하는 추세를 보여 신용부실의 위험이 있다고 한국은행이 경고했다.
3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가계의 소비지출 동향과 특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계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판매신용.현금서비스.카드론 등 차입성 자금의 비율은 9.1%를 기록했다.
이는 소비 지출액 가운데 10% 가량을 빌려다 썼음을 뜻한다.특히 차입비중 9.1%는 △98년 평균 -4.7%(상환) △99년 3.1% △2000년 6.9% △2001년 6.5% △지난 1분기 6.2%에 비해 크게 높아져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분기 가계 소비지출액(87조5천775억원) 중 자동차 할부 구입 등 '판매신용'은 3조7천621억원,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은 4조1천824억원으로 소비성 차입액은 7조9천445억원에 달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중 교육비로 지출한 부문을 포함할 경우 차입비중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와 함께 장년층(34~44세)은 소득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보다 1.4~4.3%포인트 높았으나 청년층(25~34세)은 거꾸로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2.6~8.6%포인트 높아 소비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재 중 수입 TV는 올들어 8월까지 작년동기 대비 132.9% 늘어 작년평균(39.6%)의 3배를 넘었고 세탁기도 120.7% 증가해 작년평균(14.4%)의 8.3배, 에어컨은 129.4% 늘어 작년평균(29.5%)의 4.3배에 이르렀다.
또 고가 및 대형 제품 소비가 두드러져 냉장고 중 400ℓ이상 대형 제품의 판매비중은 2000년 27.8%에서 2001년 51.4%, 올들어 7월까지는 52.8%로 점점 커졌고 25인치 이상 TV도 2000년 28.7%에서 지난해 52.9%, 올들어 7월까지는 56.3%로 비중이 높아졌다.
가계의 해외소비액도 올들어 8월까지 2조7천931억원에 달해 작년동기 대비 37.4% 증가했고 소비재 수입도 상반기 중 8% 늘어 작년평균(1.9%)을 훨씬 상회했다.
한은은 가계소비지출이 경제 성장에 기여하기도 하지만 과도할 경우 경기 하강시 충격을 더 크게 받고 경상수지 악화를 촉발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청년층 중심의 충동구매나 과시형 소비는 신용불량자를 양산하고 가계신용을 크게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