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가운데 상당수가 부정한 방법을 통해서라도 군 면제를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나 병역의무에 대한 신세대들의 달라진 의식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경일대 신문이 최근 남자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36%가 '부정한 방법이지만 군 면제를 받을 기회가 있다면'이라는 질문에 '그렇게 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당당히 병역 의무를 받겠다'는 응답은 48.5%로 과반수에 못미쳤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15.5%에 이르러 국방의 의무에 대한 인식이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군 복무를 마치지않은 응답자 가운데 53.8%는 '군대는 한번쯤 다녀올 만하다'고 응답했지만 22%는 '고된 훈련과 통제된 생활 때문에 피하고 싶다', 12.1%는 '별다른 생각이 없다'고 대답했다.
이와 관련, 징병제에 대해서는 '찬성'이 57%로 '반대' 43%를 앞섰으나 '내가 갔다 왔으니 다른 사람도 가야 한다'는 대답도 있어 군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엿보여주고 있다.
종교·개인적 신념과 양심을 지키기 위해 병역을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해선 '찬성'이 21.5%에 그친데 비해 53%는 '국가의 의무를 개인적인 이유로 기피하는 것은 평등의 원칙에서 어긋나 처벌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군대하면 가장 떠오르는 것(복수응답)으로는 '짬밥'(48%), '고된 훈련'(41%), '상하관계'(38%), '구타 및 의문사'(28%)가 많았으며 '고무신'(15%), 편지(13%) 등도 다수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