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건설경기 호조에 따른 철근 수요폭증과 열연·냉연강판 가격회복 등 내수시장에서 모처럼의 호황을 구가했다. 반면 수출은 미국 등 주요 시장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시련의 한 해였다. 이에 따라 철강업계는 내수위축이 우려되는 내년 생존전략을 마련하는데 부심하고 있다.
지난 3월 초 미국 부시행정부가 발동한 '철강제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로 미국내 철강가격이 올랐고 이를 기화로 국내 시장에서도 가격인상 요인이 발생해 열연·냉연강판을 비롯한 거의 전품목의 판매가격이 인상됐다.
더욱이 건설, 자동차, 가전 등 수요산업의 호황은 원자재로 쓰이는 철강재 수요로 이어졌고 지난 2년간 폭락세를 보였던 철강재 가격은 올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외환위기와 2000~2001년 세계 철강시장 침체로 수익성 악화에 시달렸던 국내 철강업체들도 사상 최고의 호황을 구가했다.
◇조선·중공업계=전반적인 세계 조선시장 침체로 인해 수주량 감소, 선가 하락 등 잇따른 악재를 겪어야 했다. 거기에다 EU의 제소와 정부의 선가 조정명령 조치, 이에 따른 국내 업계간 갈등 심화 등 '내우외환'도 이어졌다.
지난해 일본에 내주었던 세계 조선업계 1위 자리는 올해도 탈환하기 어렵게 됐다. 반면 최호황기였던 2000년 수주했던 선박을 올해 인도하면서 건조량과 수출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세계 조선시장의 발주량 감소로 올들어 3/4분기까지 선박수주는 394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8.9% 감소했다. 반면 올 3/4분기까지 국내 조선업계의 건조실적은 529만4천CGT로 작년 동기 511만8천CGT를 3.4% 초과했고 올 연말까지 사상 최대치인 700만CGT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수출 역시 1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