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정보 전문업체 인크루트(대표 이광석·www.incruit.com)가 인력 파견 업체 67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파견 인원이 작년에 비해 53.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마다 인력 아웃소싱 바람이 일면서 비정규직 파견이 늘고 있는 것.
67개사의 총 파견 인원은 2만7천526명에 달했다.
전체의 73.1%인 49개사에서 파견 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5개사(67.2%)가 "대졸 학력자 숫자가 작년보다 19.5%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또 파견 인력은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정도 많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업체의 41.8%(28개사)가 전체 파견인원 중 여성이 70% 이상이라고 한 반면 업체의 46.2%(30개사)가 전체 파견인원 중 남성이 10~30%에 불과하다고 답했다.
파견 인력의 월평균 급여는 정규직의 70~80% 수준. 업체의 40.3%(27개사)가 정규직의 70~80%, 25.4%(17개사)가 80~90%, 16.4%(11개사)가 정규직의 90% 이상을 지급한다고 응답했다.
직종별로는 정보통신직이 14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고객상담직 110만원, 사무행정 114만원, 영업.판매직 98만원, 경비직 91만원, 건물청소직 78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인력 파견을 요청하는 구인기업은 대부분 대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으로 70% 이상의 인력을 파견한다고 답한 경우가 55.2%(37개사)나 된 것. 반면 대부분은 중소기업으로는 10~30%, 벤처기업이나 외국계 기업으로는 10% 이내의 인력을 파견한다고 밝혔다.
구인은 서비스업종에서 22.4%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금융업(19.8%) 유통업(18.1%) 정보통신(14.7%) 제조업(12.5%) 순이었다.
파견 직종은 고객상담직(17.4%)이 가장 많았고 사무행정(14.8%), 총무비서(10.3%), 경비직(8.4%), 정보통신(8.1%) 순이었다.
인크루트 한 관계자는 "경기가 침체되면서 효율적인 인력 운용을 위해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정규직보다 급여가 다소 낮더라도 실무를 익힐 수 있고 정규직 전환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파견 사원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