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문희상 대통령 비서실장차례였다.
문 실장이 말실수를 한 것이다.
문 실장이 4일 "총리를 질타했다"고 밝히고 나서자 총리실측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고 나섰고 이에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이 질타라는 표현을 보도하지 말 것을 요청했으나 이미 엎질러진 물이었다.
문 실장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100일기념 다과회 자리에서 최근의 국정혼선과 관련, "청와대가 부처 조정기능을 다 포기했는데 총리실에서 왜 (조정을)안하고 있느냐. 총리실에서 나서서 하라고 질타했다"고 말했다.
문 실장은 이어 "그래서 국정현안조정회의라는 이름의 회의가 만들어져 열리게 된 것"이라며 "총리와 비서실장이 회의를 번갈아가면서 주재하자고 했으나 내가 총리께서 다 주재하시라고 했다. 오늘도 회의를 하고 왔다"고 밝혔다.
문 실장은 질타라는 표현에 대해 확인을 요청하자 "질타라고 하면 안되느냐"며 머뭇거리다가 다른 표현을 찾지는 못했다.
그러나 '질타(叱咤)'는 '크게 꾸짖는다'는 뜻으로 주로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야단칠 때 사용하는 표현이라는 점에서 비서실장과 국무총리사이에서는 있을 수 없는 부적절한 어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자칫하면 비서실장과 국무총리라는 관계를 떠나 권부의 중심인 청와대가 하부기관을 질타하는 듯한 모습으로 비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총리실측은 이와 더불어 그동안 화물연대운송거부사태 등 그동안의 주요 국정현안이 터질때마다 총리실에 (조정)권한을 주지도 않고 청와대 비서실이 주도적으로 처리해놓고 비난을 받으니까 내각에 떠넘기는 것 같다며 문 실장 발언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봤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