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러 다니는 굴뚝', 자동차가 내뿜는 배기가스 등으로 인한 대구지역의 대기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졌다니 충격이다.
5년간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았던 대구지역이 8일, 7일, 6일 등 연 사흘동안 오존주의보가 발령돼 노약자들의 건강에도 상당히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오존농도가 높다는 것은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말해준다.
오존의 경우 원인물질의 중요 배출원 즉 주범은 자동차, 공장매연이다.
행정당국의 느슨한 태도 탓이라는 지적도 가능한 일이다.
자동차의 가스배출, 공장의 매연 등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지도와 단속이 겉돌았다는 증표가 아닌가.
대구시의 대기 등 환경오염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과 유기적 체제 확립을 촉구한다.
깨끗한 국토유지를 단순한 경제성장 논리에 급급해 밀쳐둘 일이 아니다.
대기오염 방지 등 환경의 문제는 이제 인간의 생존문제다.
지방자치단체가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위해 환경문제를 가볍게 여기면 폐해는 심각한 상태로 되돌아 올 것이다.
70, 80년대부터 국제사회가 지적한 환경오염에 대한 경고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을 살펴봤으면 한다.
오존의 농도가 오존주의보를 발령해야 할 수준에 이르면 사망률 증가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의학계는 보고있다.
외국에서는 평균 사망자수가 7% 증가하고 호흡기질환자는 사망률이 12%나 늘어난다고 분석한다.
환경부는 최근 보고서에서 대기중에 오존이 0.0217 증가하면 65세이상 노인의 심장질환이 평소보다 5~15%, 15세 이하의 어린이는 천식으로 인한 병원 입원율이 7~16%씩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최근 대구지역의 오존 농도는 이런 우려가 현실로 닥쳤다는 점이 대책의 시급성을 말해준다.
8일 대구시 달서구 갈산동 0.127┸은 주의보 발령 기준치 0.12┸을 약간 상회했으나 개선 대책이 겉돌면 오존 경보(0.3┸), 오존중대경보(0.5┸이상)발령 위기에 닥칠지도 모른다.
시민들에게만 경각심을 일깨울 일이 아니다.
당국의 환경 마인드를 거듭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