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실들이 조금씩 드러나면서 이제 수험생들의 주된 관심사는 내 점수로 어느 대학 어느 학과에 갈 수 있느냐로 집중되고 있다.
시험을 잘 친 학생은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자신의 진로를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수능 자체를 생각조차 하기 싫을 것이다.
그러나 시험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자포자기의 상태로 아무렇게 진로를 결정해서는 안 된다.
먼저 자신의 취향과 적성을 생각해야 한다.
점수에 맞추어 대학을 결정하는 학생들은 중도에 학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자신이 무엇을 잘 할 수 있는지 확신이 서지 않을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학과가 결정되고 나면 자신의 가채점 점수로 지원 가능한 대학을 3~5개 정도 선택하고 그런 다음 그 대학과 학과의 전형요강을 깊이 있게 검토해야 한다.
전국의 모든 대학은 대학과 학과에 따라서 전형요강이 다 다르다.
따라서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세심하게 연구하느냐에 따라서 결과는 엄청나게 달라질 수 있다.
수험생들은 영역별 반영 방법과 가중치 부여 방법 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자신에게 유리한 요소를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능시험 외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이나 논술.구술 및 심층면접 실시 여부 등을 파악해서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논술고사 준비는 시험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장래를 위해서 제대로 해야 한다.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은 대학 공부를 잘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다고 해서 고전 작품을 요약한 책이나 글을 읽는 것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작품의 내용보다는 주어진 글을 읽고 이해하는 독해력이 더 중요하다.
합격통지서를 받는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자. 박해문(대륜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