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벼랑끝' 崔대표, 先퇴진 수용할까

한나라당의 내분사태가 '최 대표의 선(先) 퇴진 후(後) 수습안 모색'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이에 따라 최 대표가 22일로 예정된 기자회견에서 어떤 입장을 밝히느냐에 따라 한나라당의 내분은 수습이냐, 확대냐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최 대표의 거취 표명과 관련, 임태희(任太熙) 비서실장은 20일 저녁 최 대표를 만난 뒤 "한나라당이 앞으로 총선을 어떻게 치를 수 있느냐는 관점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최 대표의 입장을 전했다.

최 대표는 이날 오후 경기도 모처에서 임 실장으로부터 당내 사퇴요구 등 내분과 관련해 2시간 가량 보고를 받은 뒤 자신의 거취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고 임 실장이 전했다.

임 실장은 "현재의 쟁점이 최 대표 사퇴와 2선후퇴인데, 어느 의견이 다수인지와 두가지 선택 이후의 각각의 계획 등도 충분히 말하고 '여러 분위기로 봐서 빨리 하는 게 좋겠다'고 건의했다"며 "최 대표 나름대로는 결심이 서지 않았겠는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이 자리에서 최 대표에게 비서실장직 사의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20일 최 대표의 거취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홍사덕(洪思德) 총무 등 당 3역 주재로 당내 각 그룹의 대표자 모임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최 대표의 선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날 회의에는 맹형규(孟亨奎.구당모임), 김무성(金武星.중진모임), 유흥수(柳興洙.불출마의원 모임), 이해봉(李海鳳.대구경북의원 모임),신영국(申榮國.영남권 의원 모임) 의원 등이 참석했다.

내분사태의 수습이 이처럼 최 대표의 선 퇴진으로 가닥을 잡은데는 한나라당의 텃밭인 대구.경북 의원들의 반최 진영 합류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구당모임과 불출마의원 그룹 등 반최(反崔) 진영과 영남권 의원 모임 등 친최(親崔) 진영간의 세력분포는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만큼 팽팽했으나 대구.경북의원들의 행동으로 균형추가 급격히 반최쪽으로 쏠리게 됐다는 분석이다.

이제 남은 문제는 최 대표의 수용 여부이다.

최 대표가 퇴진 요구를 수용하면 내분사태는 비상대책위 구성-지도부 선출 단계로 넘어가면서 수습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하지만 최 대표가 퇴진을 거부하고 대표직을 고수할 경우 내분은 당이 쪼개지는 국면으로까지 확대될 것이 확실시된다.

한편 최 대표의 핵심측근으로 불리는 홍준표(洪準杓) 의원도 20일 "오늘로써 최 대표에게 인간적인 도리를 다했다"고 말해 최 대표의 퇴진을 기정사실화 했다.

특히 홍 의원의 '투항'은 지난해 6월 대표 경선에서 패한 뒤 최 대표를 응원했던 강재섭(姜在涉) 의원이 전날 저녁 '박근혜 대표론'을 내놓으며 역풍을 일으킨 게 결정적 요인이 된 것 같다는 게 한나라당 안팎의 분석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사진:한나라당내 혼란이 거듭되는 가운데 20일 한나라당 중앙위원회 분과위원회 소속 대의원들이 국회를 방문 기자회견을 갖고 전당대회는 총선이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