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앞에 앉는 학생들은 누구나 공부하는 시간과 학습량에 비례하여 성적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어떤 과목은 아무리 다지고 다져도 성적 향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교과서를 수없이 반복해서 읽고 문제집을 끝없이 풀어도 기대하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 학생들은 절망감과 무력감에 빠지고 만다.
취약 과목은 끝내 정복할 수 없는 것일까. 하기 싫은 과목은 결코 잘 할 수 없는 것일까. 공부한 시간만큼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학습법은 없는 것일까. 똑같은 시간 책을 읽어도 한층 생산적인 방법은 없을까. 책읽기와 글쓰기를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수 있는 묘책은 없는 것일까.
학생들 중에 이 같은 의문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해결책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방법과 연구 자료들을 소개한다.
하나하나 자신의 문제점과 연결시켜 생각해보면 미처 보지 못했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실수를 되풀이않는 방법
일반적으로 한 번 틀린 문제는 거듭 틀리기 쉽다.
처음에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과목이나 단원은 몇 번을 봐도 대충 넘어가기 쉽다.
한 번 하기 싫은 단원은 계속해서 하기 싫은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럴 땐 무턱대고 그 과목이나 단원, 문제 유형을 반복해서 공부할 것이 아니라 먼저 자신의 학습 성향부터 분석해봐야 한다.
되풀이 공부를 할 때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자. 괄호 안의 내용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방법이다.
첫째, 이미 알고 있는 것 외에 달리 짚어보고 생각해 볼 내용은 없는가?(자신의 취약점이나 구체적인 심화 방법을 잘 알 수 없다면 그 단원을 다양하게 적용한 응용 문제나 다른 단원과 관련지은 통합 문제를 풀어보면 내용을 깊이 있게 다지는 방향을 찾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둘째, 다시 보아도 왜 이 단원은 계속해서 하기가 싫은가? 하기 싫기 때문에 다른 것을 다 보고 나중에 보겠다며 계속 미루지는 않았는가?(이런 경우는 만사 제치고 이것부터 뿌리를 뽑겠다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무엇이든 한 번 정성 들여 이해하고 나면 다음부터는 훨씬 쉬워진다)
셋째, 특정 단원의 문제를 계속해서 틀리지는 않는가? 그 단원과 관련된 문제만 나오면 위축되고 평소 실력을 발휘할 수가 없는 건 아닌가?(악순환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자신의 판단력과 능력을 신뢰하면서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을 확신이 설 때까지 계속해서 풀어보며 강한 근성을 길러야 한다)
▶학습 생산성 높이기
교과서나 참고서를 공부할 때 밑줄을 긋고 여백에 보충 내용을 빼곡히 적는 학생들이 많다.
이유를 물어보면 다음에 복습을 할 때 쉽게 요점을 알 수 있고 다른 책을 참고할 필요 없이 한 권으로 다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책에 무엇을 적거나 밑줄을 치고 표시하는 행위가 반복 학습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밑줄 친 내용이나 필기한 내용 이상을 생각하기 어렵고 다른 방향으로 생각을 진전시키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음의 실험 과정과 결과를 음미해보자. 우선 일단의 학생들로 하여금 같은 과목 교과서를 두 권씩 준비하게 했다.
한 권은 수업 중에 마음껏 적어 넣고 표시를 하게 했다.
그런 다음 복습할 때 그 책으로 공부를 하게 하고, 다음에는 아무 것도 적지 않은 책을 읽으며 앞서 적었던 내용을 상기하게 했다.
그 다음에 다시 한 번 깨끗한 책을 읽으며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다양하게 생각해 보고 질문하게 했다.
그리고 나서 그 교과 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풀게 했다.
틀렸거나 맞히긴 해도 확실히 모르는 문제들에 대해 풀이 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왜 틀리게 되었는가를 자세하게 설명하게 했다.
그런 식으로 정리를 하고 난 다음 다시 한 번 교과서를 읽고 최종적으로 정리를 하게 했다.
실험이 끝나자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 단원에 대해 완전학습이 이루어졌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고 한다.
영어 책으로 이 방법을 적용해 보면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 권에는 모르는 단어의 뜻을 적고 한 권은 깨끗하게 비워 둔다.
뜻을 적은 책으로 공부한 후 아무 것도 적지 않은 책을 다시 읽으며 단어의 뜻이 다 생각나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국어나 사회 과목에서 이 방법을 적용하면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수학이나 과학에서 어떤 단원이 반복적으로 틀리는 경우 그냥 문제를 많이 풀어서 해결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처음 접하는 자세로 그 단원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천천히 오래 음미해야 한다.
▶형광펜과 책 읽기
책을 읽을 때 중요한 부분에 형광펜으로 밑줄을 치는 사람이 많다.
다시 볼 때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책 읽기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기 쉽다.
실제 세계 여러 대학의 연구와 토론 결과 형광펜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독서에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방향으로 결론이 났다고 한다.
형광펜으로 밑줄을 그어 놓으면 다음 읽을 때도 그 부분에만 눈길이 가서 처음 읽을 때 놓친 내용을 거듭 놓칠 가능성이 높다.
내용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역시 처음의 것에서 진전시키기 어려워진다.
형광펜은 내용을 깊이 있게 음미하고 재해석해야 하는 과목에선 사용을 피해야 한다.
가령 국어나 영어의 문학 작품에 형광펜으로 곳곳에 표시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직관력이나 상상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아무 표시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형광펜은 중요한 내용을 단순히 반복해서 암기해야 하는 과목에서 쓰는 게 좋다.
시각적 효과를 살려 핵심 내용을 눈에 확 들어오게 표시해 두면 단순히 반복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때도 형광펜 사용이 경직되고 획일적인 사고 습관을 형성하게 할 가능성이 많으며 깊이 있는 독서보다는 피상적인 책읽기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된다.
▶이해하는 책 읽기
고 양주동 선생의 수필 '면학(勉學)의 서(書)'에는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이란 유명한 글귀가 나온다.
'어떤 글을 백 번 읽으면 뜻이 절로 통한다'는 뜻으로, 어려운 글도 많이 읽으면 그 뜻을 깨치게 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 말은 읽어야 할 책이 한정돼 있던 과거에나 가능하던 얘기다.
오늘날과 같이 하루에도 수백 종의 책들이 쏟아져 나오는 시대에는 한 권을 백 번씩 읽을 겨를이 없다.
한두 번의 독서로 내용을 최대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좋은 책을 고르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이 능력은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쳐 얻게 되지만 결코 소홀히 해선 안 된다.
그 다음에는 선택한 책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읽어가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백 번 읽어 이해하기보다는 한 번의 정독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연과학 서적이든 인문사회학 서적이든 내용을 철저하게 이해하면 암기는 훨씬 쉬워진다.
어떤 내용이든 처음 접할 때의 자세가 거의 모든 것을 좌우한다.
처음에 철저하게 이해하지 않고 대충 읽으면 나중에 다시 읽을 때도 건성으로 넘어가기 쉽다.
속도가 느리더라도 오래 생각하며 읽어가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처음 접할 때 얼마나 적극적인 자세로 이해에 중점을 두느냐가 공부와 독서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논술 실력 향상을 위한 학습법
논술 실력을 기르기 위해 중국의 구양수가 말한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이 중요한 것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면 논술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논술은 단순한 암기의 대상이나 원칙의 적용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실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논술은 우리의 삶 자체이고, 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의 정신적 성장이다.
논술을 생활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독서를 많이 해야 한다.
독서는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써 사고력을 계발시킨다.
또 지식과 경험의 폭이 넓어지면서 논술이 요구하는 포괄적인 사고의 태도도 완성된다.
둘째, 일기를 쓰자. 글은 직접 쓰는 것이 가장 확실하게 진보하는 길이다.
논술문을 자주 쓸 수 있으면 더욱 좋겠지만, 그보다는 덜 부담스러우면서도 사고력과 문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일기를 꼭 쓰도록 노력하는 정도로도 충분하다.
가장 중요하게 지켜야 할 점은 꾸준히 쓰는 것이다.
셋째, 신문을 읽어야 한다.
신문을 읽음으로써 현실의 다양한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고, 여러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늘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게 된다.
넷째, 자기 논리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검증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논술문이 요구하는 보편타당성과 객관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평소에 일반적인 통념이나 고정관념을 벗어나 되새겨보는 사고, 잘못된 논리를 정당한 방향으로 끌어갈 수 있는 지적 훈련을 해야 한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