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재보선에서 열린우리당이 참패하자 김혁규(金爀珪) 전 경남지사가 총리 지명을 고사하고 신기남(辛基南) 의장 체제에 대한 인책론이 제기되는 등 여권이 재보선 후유증으로 요동치고 있다.
김 전 지사는 6일 청와대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만나 "지금은 화합을 통해 국가에너지를 한데 모아야할 때로 대통령의 리더십과 통치력에 손상이 가선 안된다"며 "국민이 반대하는 만큼 총리직 지명 대상에서 (저를) 제외해달라"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겠다"고 답해 사실상 건의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 5일 국회의장에 호남출신인 김원기(金元基) 의원이 뽑히고 당을 호남이 장악한 상태에서 노 대통령이 영남총리 카드를 버릴지 미지수다.
노 대통령이 김 전 지사를 총리 후보로 지명하지 않을 경우 후보로 한명숙 의원, 전윤철 감사원장, 이헌재 재경부총리가 거명된다.
이수성 전 총리와 조세형 주일대사 등도 후보로 오르내리고 있다.
이 가운데 당내에선 한 의원, 내각에선 이 부총리가 무난한 카드로 꼽히고 있다.
전 감사원장도 유력한 후보이지만 임기가 남아있고 호남출신이란 점이 변수이다.
노 대통령이 이번 재보선의 참패 원인을 호남민심의 이반으로 보고 배려할 경우 낙점할 수 있으나 국회와 당, 내각을 모두 호남이 장악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가질 수도 있다는 풀이다.
경북 칠곡 출신인 이 전 총리는 노 대통령이 같은 맥락에서 영남 총리 카드를 고수할 때 안(案)으로 거론된다.
보수적 성향이 단점이지만 총리직을 무난히 수행했고 야당과의 관계 개선 등 통합에 적임자인데다 'TK 소외론'을 불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도 벌써 신 의장 체제의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 의장이 어떤 식으로든 재보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질 수밖에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신 의장은 그러나 일각의 의장직 조기 사퇴 관측을 일축했다.
7일 의원총회에서 신 의장은 "이번 선거 패배의 원인은 당 의장인 저의 모자람으로 다 책임지고 싶다"면서도 "그러나 집권 여당의 책임있는 자세로 진정한 국민을 위한 길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 의장은 이어 "당의 의견을 가감없이 듣고 당원들의 뜻에 따르겠다"고 말해 사실상 의장직 자진사퇴를 유보했다.
신 의장이 이처럼 의장직 고수로 일단 가닥을 잡은 것은 친당권파 성향의 의원들이 사퇴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부겸 의장비서실장을 비롯 김영춘, 안영근, 송영길 의원 등 30~40대 재선의원들은 6일 모임을 갖고 조기 전대 반대에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춘 의원은 "남의 탓이 아니라 자기 탓으로 돌리는 풍토가 필요하다"며 신 의장 사퇴에 반대한뒤 "인책론이 나오고 있으나 그 분들 나름대로 가치있는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비당권파의 공세 또한 만만찮다.
한 초선 의원은 "당지도부가 선거에 패배하고도 책임을 지지않는다면 국민이 당을 신뢰하겠느냐"며 조기전당대회를 주장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사진: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열린우리당 의원총회에서 신기남 당의장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