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이전 논의 대구의원 '고민중'

한나라당 대구 의원들이 22일 모처럼 자리를 같이 했다.

내달 14일 예정된 전당대회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신 행정수도 이전을 둘러싼 입장을 정리하기 위해서다.

수도이전 논란과 관련, 장고(長考)를 거듭 중인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끝까지 자리를 지켜 눈길을 끌었다.

○…대구 의원들은 행정수도 이전 논란을 극복할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데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새로운 재원마련 없이 행정자치부의 지방 양여금을 지방균형특별회계로 옮겨놓는 식의 재정 분권화는 의미가 없다"며 "당 차원의 획기적 대안을 마련,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박종근(朴鍾根) 의원은 "행정수도는 향후 투자계획이나 조감도조차 없다"며 "실체가 드러난 뒤 지역균형 발전계획에 따른 자원 배분이 제대로 되는가를 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석준(金錫俊) 의원은 당 '수도이전문제 특위'를 아예 '지역균형발전 특위'로 확대, 분권화 이슈를 잡자고 제안했다.

일부 의원들은 수도이전 착공 시기가 대통령 선거가 있는 2007년인 점을 감안, 또다시 정략적 접근이 이뤄지지 않을까 우려했다.

이해봉(李海鳳) 대구시지부장은 "거대한 천도계획을 졸속으로 세워놓고 지난 대선과 총선에서 써먹고 이를 다시 17대 대선에서 재탕하면 대선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오는 8월 발표될 예정인 180~200개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계획을 두고 걱정하는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원 구성 지연으로 대구.경북 유치를 위한 국회차원의 세일즈 활동이 탄력을 못 얻고 있는 탓이다.

"이미 타이밍을 놓쳤다"는 탄식도 나왔다.

이 지부장은 "장관을 불러 따지려 해도 아직 상임위 배정조차 되지 않아 안타깝다"고 혀를 찼다.

하지만 대구 의원들은 지역 특수성과 입지여건 등을 적극 알려 유치경쟁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사진: 오른쪽부터 이해봉의원, 박근혜대표, 강재섭, 박종근, 주성영 의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