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주도의 연합군이 행사해 오던 이라크의 주권
이 28일 이라크 임시정부로 넘겨졌다.
이는 당초 예정일(6월30일)보다 이틀 앞당겨진 것이다.
이로써 지난해 4월9일 바그다드 함락으로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되면서 미군
주도 연합군의 점령통치가 시작된 지 1년 2개월 19일만에 이라크 주권정부가 정식
출범했다.
폴 브리머 연합군 임시행정처(CPA) 최고 행정관은 이날 CPA 본부가 있던 바그다
드 중심부의 그린존에서 철통같은 경계가 펼쳐진 가운데 주권이양에 관계된 법률문
서를 이야드 알라위 이라크 임시정부 총리에게 넘겼다.
알라위 총리는 조촐하게 거행된 이양식에서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고 주권인
수의 의미를 부여한 뒤 "우리는 (이라크) 치안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브리머 행정관은 "우리는 이라크 임시정부가 주권을 이양받을 준비가 돼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이라크의 미래를 확신하면서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CPA 관리들은 브리머 행정관은 조기주권 이양이 이뤄
져 CPA도 조기 해체됨에 따라 이날중 이라크를 떠날 것이라고 전했다.
미 군정 당국과 이라크 임시 정부가 당초 예정일을 이틀 앞당겨 전격적으로 간
소한 주권이양 행사를 가진 것은 주권이양일에 맞춰 감행될 대규모 테러공격을 피하
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되고 있다.
알라위 총리는 "이라크 국민들이 자신의 운명을 가급적 조속히 통제하고자 하는
열망을 반영해 조기 주권이양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라크 임시정부는 지난 24일 CPA로부터 국방, 내무 등 핵심 부처 11개의
업무를 인수해 26개 전 부처의 운영권을 넘겨받았다.
이는 주권이양 행사가 이날 열렸지만 이라크 임시정부는 주권을 가진 정부로서
이미 기능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바그다드 AP.AFP=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