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달 중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나 대구.경북은 정부 움직임을 파악해 시도와 지역 정치권이 긴밀하게 공조하는 등의 '전략'이 없어 한전, 토지공사, 주택공사 등 알짜 공공기관 유치에서 소외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김석준(金錫俊.대구 달서병) 의원은 "알짜 공공기관 유치가 지역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나 당이 행정수도 이전에 반대하고 있는 마당이라 공공기관 유치를 주장할 분위기가 아니다"면서 "정부 안이 발표되면 그때라도 지역 정치권이 공동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박종근(朴鐘根.대구 달서갑) 의원은 "대구시와 한차례 당정협의회를 가졌지만 26개 유치희망 기관을 나열해 어떤 공공기관 유치에 집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서 "대구시 관계자로부터 '유치 전략'에 대해 어떤 설명도 들은 바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비례대표인 열린우리당 박찬석(朴贊石) 의원도 "대구시와 경북도로부터 정부 움직임을 파악해 특정 공공기관 유치를 위해 도와달라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면서 "솔직히 왜 내가 나서야 하는지 모르겠고 의욕도 없다"고 털어놨다.
이처럼 대구.경북은 공공기관의 유치를 위한 지자체와 정치권의 협력이 부족한 등 손을 놓고 있지만 광주 등지에서는 한전과 한국전력기술 등의 유치를 위해 정치권과 음양으로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지역 특성을 감안해 유치 희망기관 26개를 선정, 여야 정치권과 당정협의회를 가졌고 유치 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까지 마련해 정부 관계자 및 공공기관과 접촉하는 등 공격적인 유치활동을 펴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북도 관계자도 "시군별로 산업발전 연계성이 높은 36개 유치대상 기관을 정해 유치를 위해 정치권과 정부 관련부처 등과 자주 접촉하고 있다"며 "열린우리당 경북도당도 협조적"이라며 "정부가 각 지역에 골고루 공공기관을 분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 학계와 상공계, 출향인사 등은 "공공기관 이전이 지역 발전의 전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정치적 이유로 무관심하거나 시도와 정치권 등의 대응 미흡으로 껍데기 공공기관만 유치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며 "지금이라도 여야를 초월한 협조체제 구축으로 알짜 공공기관 유치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