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수도이전 문제를 이 정부가 '벼랑끝 전술'로 몰고가는 것 같다.
야당들이 '최종후보지 선정' 발표 자체를 보류해야 숨통이 생긴다고 그렇게 말렸음에도 이해찬 총리는 어제 기어이 루비콘강을 건너갔다.
9월 정기국회는 또다시 민생을 패대기치게 생겼다.
제발 국민에게 희망을 좀 달라.
신물나는 얘기지만 수도이전보단 민생고(民生苦) 해결이 먼저고, 수도이전지 발표보다는 헌법재판소의 심리결정이 먼저다.
또한 법이 중요한 만큼 '국민 참여'는 더더욱 중요한 것인데도 노 대통령과 집권여당은 이 순서를 전부 뒤집었다.
이러면 정당성 논란을 자초하는 것이다.
당장 야권은 관련예산 논의 거부를 들고나왔다.
찬반의 장외투쟁도 곧 튀어나올게 뻔하다.
거듭하지만 본란은 수도이전 그 자체가 아니라, 역사적 과제를 추진하는 집권층의 '그 방법'이 싫다.
졸속과 오기가 두려운 것이다.
뜻이 아무리 고상한들 국민이 따라주지 않으면 금의야행(錦衣夜行)-비단옷 입고 캄캄한 밤길을 걷는 것이다.
당장 헌법재판소가 우습게 돼버렸다.
헌재는 꼭 한달 전 수도이전 위헌여부를 가려달라는 헌법소원과 헌재 결정때까지 수도추진위의 활동중지 가처분신청을 받아 지금 심리중이다.
그것을 총대를 대신 멘 이해찬 총리는 "국회결정이 여론보다 중요한 것"이라는 논리로 뭉개버렸다.
헌재는 탄핵때 노 대통령을 살려주었다.
또 헌재에 대한 압박용인가? 만일 헌재가 헌법소원과 가처분신청을 하나라도 받아들이면 수도이전 작업은 올스톱이다.
'강하면 부러진다'는 속담을 떠올린다.
그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다.
내년 과반의석 붕괴의 가능성에 따른 위기감때문이 아니길 바란다.
늦었지만, 더 늦기전에 국회에서 재논의 하라.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