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현재 57일째 계속되고 있는 구미공단 코오롱 노조의 파업사태가 회사측의 직장폐쇄 결정으로 공권력 투입이 불가피해지는 등 끝내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코오롱은 "노조파업이 점차 불법 양상으로 번져 이제 노사간 교섭을 통한 협상이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판단, 직장폐쇄를 결정했다"고 밝히고 "18일 오후 3시부터 직장(구미공장)을 폐쇄한다"는 내용을 노조측에 통보했다.
코오롱은 17일 오후 구미시와 경북노동위원회에 구미공장에 대한 직장폐쇄 신고를 접수했다. 그러나 전체 구미공장 가운데 협정근로계약 대상인 스판덱스 공장과 LCD소재인 광확산필름 공장은 조업이 이뤄진다.
이에대해 코오롱 노조는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노동자들의 정당한 투쟁을 '고임금 노동자론'으로 매도하고 '직권중재'라는 악법을 통해 공권력 투입기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반발하고 "앞으로 더욱 투쟁수위를 높일 것"이라며 맞서고 있다.
이처럼 노조측이 회사의 직장폐쇄 결정을 수용하지않고 계속 공장내에서 파업집회를 할 것으로 보여짐에따라 공권력 투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경찰은 현재 코오롱 구미공장 인접지역인 구미톨게이트, 구미체육관 등지에 20개중대 2천200명의 경찰병력을 대기시켜두고 있다.
게다가 경찰은 지난 10일 파업을 주도한 노조간부 4명에 대해 대구지청 김천지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았고, 노조원들의 이웅열 회장 참수 패러디 사진과 관련해서도 조사를 벌이는 등 압박하고 있다.
코오롱 측은 "최근 실무교섭과 대표회담을 통해 노조측에서 임단협 대상이 아닌 파업기간에 따른 임금지급과 '징계철회'를 요구했다"면서 "회사에서 '무노동무임금 원칙'을 고수하자 노조는 교섭결렬을 선언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는 당초 임금인상 만을 주장하다가 4조3교대 근무 변경을 요구, 결국 근무시간 감소에 따른 임금 손실분을 회사측에서 55% 부담키로 합의한 상태"라고 주장했다.
또 코오롱은 "지역의 노사 평화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빚고 있는데 대해 지역민들의 양해를 구한다"면서 "현재까지의 매출 손실이 600억원에 이르러 더 이상의 피해를 방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직장폐쇄 배경을 설명했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