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은행일수록 중소기업 대출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나 외국자본의 은행산업 지배에 따른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우려된다
29일 금융계에 따르면 외국인 지분 비율이 70%가 넘는 국민은행, 외환은행, 한국씨티은행의 10월 말 현재 중소기업 대출잔액은 작년 말보다 모두 감소했다.
지난달 말 현재 한국씨티은행(외국인 지분율 99.4%)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8조5천924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7.7% 줄었다.
이달초 한미은행과 씨티은행 한국지점의 통합으로 출범한 한국씨티은행의 외국인 지분율은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고 중소기업 대출 잔액 감소폭도 가장 크다.
한국씨티 다음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국민은행(77.3%)의 작년 말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37조7천892억원으로 작년 말에 비해 2.1% 감소했고 외환은행(71.9%)은 15조8천63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0% 축소됐다.
그러나 외국인 지분율이 70% 미만인 은행들은 외국인 지분율이 높을수록 증가율이 낮았다.
하나은행(66.8%)은 19조8천379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7.2%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신한지주(63.6%)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17조5천864억원으로 12.9% 늘어났고 제일은행(48.6%)은 6조2천199억원으로 17.3% 증가했다.
우리금융지주(10.7%)의 주력사인 우리은행의 지난달 말 현재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9조8천809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4.1% 증가했고 조흥은행은 14조2천281억원으로 작년 말에 비해 1.4% 줄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