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수능부정(不正)의 '청정지역'으로 알려졌던 대구(68명)'경북(57명)에서도 이뤄진게 경찰에 의해 밝혀졌다. 이로써 사실상 이번 '수능부정'은 전국에 걸쳐 조직적으로 저질러졌다는 게 경찰수사에서 확인이 된 셈이다. 또 수사가 끝난 299명의 명단을 넘겨받은 교육부는 심사끝에 226명을 1차로 시험무효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지금까지 드러난 올해 부정의혹 관련자만 약2천명 정도로 밝혀졌으나 아직 경찰수사의 촉각에 잡히지 않은 사례까지 감안하면 그 인원은 얼마가 될지 가늠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국가시험사상 유례가 없는 '심각한 사태'인데다 도대체 몇년전부터 이런 부정이 저질러졌을까를 고려하면 가히 '시험부정공항'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부정이 이런 지경에 이르게 한건 한마디로 교육부가 사실상 방치하다시피 한데 있다. 수년전부터 인터넷 사이트에 공공연하게 '부정모의'가 나돌았다. 또 내신 부풀리기 일환으로 일선 고교의 교내 시험부정까지 교사의 방조내지 감독불충분으로 자행됐지만 교육부는 전혀 손을 쓰지 않았다는게 경찰수사로 드러났다. 올해 시험직전에는 휴대전화 부정이 저질러진다는 걸 뻔히 알면서도 대책조차 못세운 채 사실상 부정을 묵인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부장관을 비롯 수능시험관련자들이 그 자리를 지킬 하등의 이유가 없다. 후속대책을 기대하는 건 더더욱 무의미한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뭘 기다리는가. 경찰 수사는 계속해야겠지만 그 윤곽은 이미 다 나왔다. 이번 사태의 해결책은 조기에 새 장관에게 맡기는게 순리이다. 수능 부정에 따른 국민들의 분노도 갈수록 심각한 양상이다. 현 정부가 올인하고 있는 '4대입법'보다 '수능부정'의 폐해가 더 심각하다는 걸 깨달길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