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6시 30분. 나를 깨우는 첫 번째 알람 소리를 슬쩍 외면하며 뒤척이다가 이내 마음을 다잡고 이불을 확 젖힌다. 큰아이 학교에 가져갈 수저와 물, 둘째아이 유치원에 가져갈 빈 도시락과 수저를 챙기며 주부'직장인의 아침이 동시에 시작된다. 아침상을 차리고 식구들을 차례로 깨우며 화장을 한 후, 느리게 상 앞에 앉는 둘째아이의 숟가락과 내 숟가락을 번갈아 잡으며 아침을 먹는다. 큰 아이가 어제 말 안 했다며 오늘 가져갈 준비물을 하나씩 주워섬긴다. 학급문고에 가져갈 책 3권, 모형항공기 연습할 때 필요한 실타래 등이다. 큰아이의 준비성 없음을 나무라며 둘째의 갈래머리에 방울을 묶는다.
오전 8시 30분. 교실에 들어서자 아이들이 일제히 "선생님 안녕하세요?" 하며 인사를 한다. 3월 한 달 동안 기본 예절교육을 충실히 시킨 보람이 있다. 자리에 앉으며 숙제 검사를 한다. 한 녀석이 깜박 잊고 숙제를 집 책상 위에 놓고 왔다는 것이다. 갑자기 큰 애가 떠오른다. 그래서 내일까지 가져오라고 한다. 내 아이의 선생님도 그렇게 해주시기를 바라면서 나도 아이에게 어떻게 행동할까 결정하는 일들이 많아진다.
처음에는 반의 아이들을 내 아이처럼 대하려고 했던 것 같다. 하지만 어머니의 역할과 교사의 역할은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래도 어머니는 자신의 아이들에게 객관성을 잃기 마련이다. 교사는 그런 객관성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넓은 시각으로 교육적인 유도자가 되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니 학급의 아이들을 내 아이처럼 대하기보다는 내 아이의 선생님이 내 아이에게 해주기를 바라는 선에서 타협점을 찾아 행동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내가 선택하는 타협점의 행동이란 것도 많은 부분, 주관적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낮 12시 20분. 한 아이가 수저를 가져오지 않아 우두커니 배식판 앞에 앉아 있다. 자주 그러는 아이다. 교실에 이 아이의 수저를 따로 둘까 생각해 봤지만 그러면 스스로 물건을 챙겨오는 일을 익히는데 도움이 안 될 것 같다. 그렇지 않아도 준비물이며 교과서도 반절이나 챙겨올까 말까 하는 아이인데. 하지만 '내 아이가 수저가 없어 저렇게 그냥 앉아 있다면?'하는 생각이 들자 급식실에서 수저 한 벌을 빌려오도록 한다. 교사의 객관성이 어머니의 그것에 밀리는 순간이다. 아니, 그 반대인가?
오후 3시. 수학시간에 다하지 못한 무늬만들기를 완성하기 위해 두 아이가 남았다. 공부시간에 뒤에 앉은 친구와 장난 조금치고, 옆에 있는 아이와 조금 다투고 그러느라 바닥에 흩어진 필통의 물건 주워담으며 시간을 보낸 대가다. "집에 가서 해오면 안 될까요"하는 물음에 "다하고 가라"고 대답한다. 내 아이의 선생님이 해주었으면 하는 대답이고 내가 찾은 타협점이다. 하지만 다시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 또한 역시 어머니의 주관적인 바람이다. 그러니 학부모의 교육과 교사의 교육이 어디에 바탕을 두고 있는가를 따져보면 그것은 한 곳에서부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후 4시 20분. 내일 알림장을 쓰다가, 6교시를 마치고 태권도학원을 다녀올 큰아이를 떠올리며 숙제 하나를 슬그머니 지운다.
김현숙(대구월성초교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