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북한이 영변의 5메가와트급 원자로 가동 중단 사실을 확인했다. 미국 또한 이 사실이 알려진 후 스콧 맥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을 통해 "북한의 도발적인 말과 행동은 고립을 심화시킬 뿐"이라며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거부할 경우 안보리 회부도 그 조치 중 하나일 수 있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백악관 대변인의 발언치고는 이례적이다. 북핵 문제를 둘러싼 북'미 간 모양새가 보다 심각해진 갈등 양상이어서 걱정이다.
북한은 이미 지난 2월 '핵 보유'를 선언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번 원자로 가동 중단 조치가 '핵 보유 선언'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위협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렇더라도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분명 6자회담 재개 논의에 부정적인 영향일 수밖에 없다. 이달 초 북한을 방문했던 셀리그 해리슨 미 국제정책센터 선임 연구원은 "북한이 핵 완전 폐기는 북'미 관계 정상화 이후 논의하자"는 새로운 제안을 내놓았다고 했다. '핵 보유국'임을 분명히 하자는 의도다. 미국이 수긍할 리 없다.
핵 보유 위협으로 협상의 몸값을 불리면 미국의 양보를 얻어 낼 수 있다는 북한의 계산은 맞지 않다. 미국의 크리스토프 힐 6자회담 대표도 "6자회담 이외의 선택은 없다"고 못 박고 있고, 무엇보다 한'중'일 등 주변국들로부터도 북한의 이런 계산은 결코 용인될 수 없다. 물론 북한도 이를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동북아의 정세와 한'미 간의 미묘한 갈등이 또 다른 의외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북핵 문제 해결을 더욱 꼬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어느 때보다 북핵 문제를 푸는 데 긴장된 자세와 세련된 외교력을 집중해야 한다. 항상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한 다각도의 강구책도 마련해둠은 물론이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