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에는 수도권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 수준에 도달할 전망이다. 또 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2015년에는 경기를 제외한 8개 도가 노령인구(65세 이상)가 14%를 초과하는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특히 전남은 2010년에 노령인구가 20%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26일 통계청은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2001∼2030년까지의 '시도별 장래인구 특별추계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전국인구는 2005년 4천829만4천 명에서 2020년 4천995만6천 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이후 지속 감소해 2030년에는 4천932만9천 명에 이를 전망이다.
총인구중 서울·인천·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인구 구성비는 2005년 48.3%에서 2010년에 49.9%에 도달하고 2030년에는 53.9%로 늘어날 전망이다. 연령계층별 인구구성비를 보면 유년인구(0∼14세)는 지속적인 출생아수 감소로 모든 시도에서 낮아지고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05년 71.8%에서 2015년 73.2%를 차지한 후 점차 낮아져 2030년에는 64.7%에 이를 것으로 추계됐다.
노령인구(65세이상)는 2005년 총인구 중 9.1%에서 출생아수의 지속적인 감소와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라 2015년에는 12.9%, 2030년에는 24.1%로 증가할 전망이다. 시도별로는 2005년 현재 서울(7.1%), 울산(5.2%) 등 대도시와 경기도의 노령인구 구성비가 전국수준보다 낮고 전남(17.5%) 등 8개 시도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충남(14.4%), 전북(14.0%), 전남(17.5%), 경북(14.3%)은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도달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전남은 2010년에 이르면 노령인구가 20.3%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가장 빨리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2015년에는 경기를 제외한 8개 도가 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전국의 인구증가율(연평균)을 보면 2000∼2005년에 0.54%를 기록했다가 출산율 감소로 2010∼2015년에 0.24%, 2025∼2030년에는 마이너스 0.2%로 낮아질 전망이다. 수도권은 2000∼2005년 연평균 1.42%를 기록, 전국 수준인 0.54%보다 크게 높았다. 이는 수도권지역 인구가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로 자연증가가 높고 인구이동에 의한 인구집중이 지속된 결과로 보인다. 수도권 순이동 인구는 1995∼2000년 37만1천 명에서 2000∼2005년 77만 명으로 2배 가까이로 늘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