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부터 한국전력, 철도공사, 주택공사 등 정부 산하기관 및 공기업 90곳에 오는 2009년까지 5년간 한시적으로 '이공계 채용 목표제'가 도입, 시행된다.
정부는 2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오명(吳明)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주재로 제6회 과학기술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이공계 채용목표제 도입 △전력IT(정보기술) 추진과제와 추진방안 △신약 제품화 촉진 및 제약산업 애로 해소방안 등 3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이공계 채용 목표제는 우수 청소년의 이공계 진학을 촉진하고 과학기술 인력의 사회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로, 지난 4월 과학기술 관계장관회의에서 도입을 결정한 데 이어 이번에 이 제도의 적용대상 기관 90곳이 확정됐다.
정부는 이공계 채용 목표제 대상기관으로 정규직원 300명 이상의 경영혁신 대상 공기업·정부 산하기관을 선정했으며 의료관련 업종 등 이공계 전공자에게 적절한 업무가 없는 기관은 제외했다고 밝혔다.
부처별로는 산업자원부 23곳을 비롯해 과기부 및 건설교통부 각 14곳, 재정경제부 9곳, 노동부 5곳, 해양수산부 4곳, 환경부·농림부·문화관광부 각 3곳, 국방부·행정자치부·금융감독위원회·방송위원회 각 2곳, 보건복지부·경찰청·중소기업청·특허청 각 1곳 등 모두 90곳이다.
대상 공기업과 정부 산하기관들은 올해부터 신규 채용 인원 중 이공계 인력비율을 기준으로 매년 5% 이상 5년 동안 추가로 채용하도록 권고받는다.
예컨대 지난해 최근 3년간 이공계 신규채용 비율이 40%인 기관의 경우 올해 42.0%, 2006년엔 44.1%, 2007년에는 46.3%, 2008년 48.6%, 2009년 51.0%로 이공계 전공자의 신규채용 비율을 높여 간다.
다만 이공계 채용인력의 평균비율이 75% 이상인 기관은 자율적으로 현상 유지하도록 했다
정부는 이공계 채용목표를 대상기관에 권고한 뒤 매년 이공계 전공자 채용실적을 보고받아 이를 경영실적 평가항목에 포함시키고 가산점 등 인센티브를 부여키로 했다.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이 제도를 시행한 뒤 성과에 따라 추가 실시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임상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앞으로 5년간 이 제도의 도입에 따른 이공계 전공자의 추가적인 신규 채용인원은 1천500명 이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평균 이공계 채용비율이 75%를 넘는 기관도 추가적인 채용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또 이날 회의에서 산자부가 추진중인 '전력 IT(정보기술) 추진과제와 추진방안'을 심의, 전력IT화에 대한 '연구개발(R&D)-상용화·벤처투자-공공기관 우선구매'로 이어지는 '3각 연계방식'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한국전력의 구매를 전제로 기업에 기술개발 예산을 지원하는 조건부 기술개발사업을 확대하고 한국전력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개발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전력·전기분야의 벤처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수기술 보유기업에 대해 투자자금이 원활히 조달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력분야 신기술 창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벤처투자조합의 결성을 추진키로 했다.
이밖에 전력선통신(PLC) 기반의 통합에너지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산·학·연·관으로 구성된 통합에너지 서비스 사업 전담팀을 구성, 전력-가스 통합에너지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는 한편 PLC기반 통합에너지 서비스 시범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