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한 요양원에서 60대 장애 노인을 상습 학대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물의를 빚고 있다. 뇌출혈 후유증으로 정신지체 장애에 거동까지 불편한 할머니를 간병인이 발길질을 하는가 하면, 휠체어에 머리를 부딪혀 고통을 호소해도 거들떠보지도 않고, 심지어 두 발을 잡고 바닥에 질질 끌기도 하는 장면들이 CCTV 화면에 잡혔다. 버릇을 고친다며 할머니를 세 차례나 독방에 가둔 사실도 확인됐다. 불한당도 이런 불한당이 없을 정도다.
얼마 전 산부인과 병원의 신생아 학대 사건의 여파가 채 가라앉기도 전에 노인요양원에서 일부 간병인에 의해 이런 짓거리가 벌어졌으니 기가 막힐 일이다. 정성껏 돌봐주겠다는 말을 믿고 1년째 매달 100만 원이 넘는 비용을 내며 할머니를 이 요양원에 맡겨온 가족들의 분노는 오죽할까.
급속한 고령화로 우리 사회에서도 치매 등 장기 요양이 필요한 노인성 질환자나 장애 노인, 홀몸 노인 등 노인요양시설 이용자가 급증할 전망이다. 물론 가족처럼 잘 돌봐주는 요양원들도 많이 있을 것이나 이번처럼 심신이 연약한 노인들을 함부로 다루고 학대하는 곳이 더 이상 없다고 할 수 있을까.
이번 사건은 직업 윤리가 철저하지 못한 간병인의 개인적 과오가 크지만 요양원의 관리'감독 소홀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 요즘 같은 취업난 시대에 꽤 수익성 있는 여성 직종으로 자리 잡고 있는 간병인은 현재 여성회관'복지회관'YWCA 등 사회단체나 복지기관에서 일정 기간 훈련을 거쳐 취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별한 자격이나 제한이 없으므로 이번 같은 문제는 언제든 일어날 여지가 있다. 가족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철저한 관리'감독 시스템의 요양원과 간병인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