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규(金昇圭) 법무장관이 국정원장에 내정됨에 따라 후임 장관 인선을 계기로 참여정부 임기중반에 분위기 쇄신을 위한 대폭 개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자연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김완기 인사수석은 "대통령으로부터 이에 대한 어떤 지시도 받은 바 없다"며 가능성을 부인했지만,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두고 봐야 한다"며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4·30 재·보선 참패 이후 여당 일각에서 제기된 인적 쇄신 요구를 반영하는 차원에서 국정원장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된 후 7월쯤 내각과 청와대를 포함한 여권 진용의 개편이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시기적으로 참여정부 임기가 반환점을 맞이하는 점을 감안해 부분 개각을 통해 새로운 진용으로 국정에 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청와대 내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후임 법무장관 인선이 7월쯤에 이뤄진다면 다른 부처 개각과 함께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일부 부처의 개각 가능성을 예상했다.
후임 법무장관에는 열린우리당 일각에서 원내대표를 지낸 전남 목포 출신의 천정배(千正培) 의원을 강력하게 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정홍원(鄭烘原) 전 법무연수원장, 이범관(李範觀) 전 서울지검장, 안경환(安京煥) 서울법대 교수 등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한편 김 장관이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경우 '빅4'로 불리는 4대 권력기관장의 출신 분포는 영남 2명(경찰청장·국세청장), 호남 2명(국정원장·검찰총장)으로 지역적 균형을 이루게 된다
특히 이와 맞물려 호남 민심 악화로 인해 당내 갈등을 빚고 있는 열린우리당의 의사가 인사에 상당히 반영됐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