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벽화나 프로메테우스의 신화 등에 불이 등장하지만, 옛 사람들은 불을 하나의 물질로 생각했을 뿐 '물질이 불에 타는 것'이라는 연소의 개념을 알지 못했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해 빛과 열 또는 불꽃을 내면서 타는 화학 반응이 연소라는 것을 이해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불이 붙는 발화점은 태우는 물질의 모양이나 크기, 산소와의 혼합비, 측정방법 등에 따라 달라진다. 철판이 잘 타지 않는 것은 공기(산소)와의 접촉 면적이 너무 작아서이다. 철은 아주 가는 철사 형태인 강철 솜으로 만들어 산소와 잘 접촉하도록 엉성하게 놓으면 불이 붙는다. 지난 4월 큰불이 났던 강원도 낙산사의 보물 479호 동종은 녹아내렸지만 순철로 만든 또 다른 종은 괜찮았다. 구리에 주석이 섞인 동종의 녹는점이 애초보다 낮아진 탓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장작불이 내는 섭씨 900~1천도 정도의 온도는 청동의 녹는점과 맞아 떨어진다. 순수한 철의 녹는점은 1천535도로 이보다 훨씬 높다. 청동기 시대에서 철기시대로 넘어 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은 철을 녹일만한 화력이 개발되지 못한 이유가 클 것이다. 옛날 사람들은 낫이나 호미, 삽, 솥 등을 대장간에서 얻었다. 대장간에서는 철광석을 불에 녹이고 덩어리가 되면 담금질로 단단한 제품을 만들어 내며 지금의 제철소 역할을 해냈다.
대부분의 물질을 태우면 왜 가벼워질까. 물질마다 거의 들어 있는 탄소(C)성분이 불이 타면 산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반면 구리가루처럼 탄소 성분이 없는 물질을 태우면 산소와 합해져 오히려 무거워진다.
△발화점 비교하기
준비물 : 나무젓가락, 알루미늄 호일, 솜, 부직포, 실, 철판, 알코올램프.
① 준비된 물질을 같은 크기와 두께로 자른다.
② 철판 중심에 원을 그려 원주 위에 올린다.
③ 일정한 거리에서 불꽃으로 가열한다.
④ 불 붙는 순서를 확인한다.
송은경 (와이즈만 대구중부센터대표)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