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은 오랜 생활 체험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 내려와 민중들의 *共感(공감)을 얻어 널리 퍼진 것이다. 속담에는 오랜 세월에 걸쳐 터득해 온 민중들의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보통 비유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그 겉뜻뿐만 아니라 속뜻까지도 잘 파악해야 한다. 우리 선인들은 우리말 속담을 한문으로 나타내어 사용하였는데 *類似(유사)하거나 동일한 의미를 지닌 속담과 성어를 *對應(대응)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去言美來言美(거언미래언미)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내가 남에게 잘해야 남도 나에게 잘한다'는 뜻
△同價紅裳(동가홍상)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기왕이면 더 좋은 것을 택한다'는 뜻
△燈下不明(등하불명) :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이 있는 것을 오히려 잘 모른다'는 뜻
△目不識丁(목불식정) :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아주 무식하다'는 뜻
△無足之言 飛于千里(무족지언 비우천리) :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 '말은 한번 하면 저절로 퍼지므로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뜻
△三歲之習至于八十(삼세지습지우팔십) :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어릴 때 몸에 밴 버릇은 고치기가 어렵다'는 뜻
△雪上加霜(설상가상) : 엎친 데 덮친 격, '난처한 일이나 불행이 거듭된다'는 뜻
△識字憂患(식자우환) : 아는 게 병, '학식으로 인해 도리어 걱정을 사게 된다'는 뜻
△我田引水(아전인수) : 제 논에 물 대기, '자신에게만 유리하도록 일을 처리한다'는 뜻
△藥房甘草(약방감초) : 약방의 감초, '어떤 일에나 빠짐없이 참석하는 사람이나, 꼭 있어야 할 물건'이라는 뜻
△吾鼻三尺(오비삼척) : 내 코가 석자, '내 일이 급해 남의 일을 돌볼 겨를이 없다'는 뜻
△牛耳讀經(우이독경) : 소 귀에 경 읽기, '아무리 말해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
△一擧兩得(일거양득) : 꿩 먹고 알 먹고, '한꺼번에 두 가지 이득을 취한다'는 뜻
△種豆得豆(종두득두) :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원인에 따라 결과가 나뉜다'는 뜻
△坐井觀天(좌정관천) : 우물 안 개구리, '견문이 좁아 세상 형편을 잘 모른다'는 뜻
△走馬看山(주마간산) : 수박 겉핥기, '사물의 겉만을 대강 보고 지나친다'는 뜻
△草綠同色(초록동색) : 가재는 게 편, '같은 부류끼리 모인다'는 뜻
△風前燈火(풍전등화) : 바람 앞의 등불,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라는 뜻
자료제공 : 장원교육 한자연구팀
@한자풀이
共感(함께 공, 느낄 감) : 남의 생각이나 의견, 감정 등에 대하여 자기도 그러하다고 느낌. 또는 그런 감정
類似(무리 류, 같을 사) : 서로가 비슷함
對應(대답할 대, 응할 응) : (어떤 일이나 사태에) 알맞은 조치를 취함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