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산이 부서져라 한 점도 남기지 말고
부서져 어느 도공의 손끝에 다시 가 닿아
수만도 불길 속에서 끓는 물이 되거라
어쩌지 못해 지녀왔던 못난 삶의 언저리
바스러질 대로 바스러져 형체 모두 지워버린 채
티끌로 먼지로 변해 흙으로 돌아가라
하얀 피 철철 흘려 깨어지는 아픔 있어도
풀잎 돋고 뿌리 내린 나무 밑의 한줌 흙으로
몇 억겁 바람이 불어도 그 세월 이기거라
그런 날 인연 닿는 어느 도공의 눈에 띄어
시린 마음을 담아 데워서 건네주는
이 지상 단 하나 남을 결 고운 그릇이 되거라
하순희 '그릇'
처음 변할 때 시의 화자는 '끓는 물'이 되기를 갈망한다.
고체의 액체화이다.
얼음과 같은 것은 이것이 가능하나 용암이 되지 아니 하고서야 어찌 그릇이 물이 될 수가 있을까. 수만도 불길 속에서 끓는 물이 되기를 바라는 것은 결국 어떤 순수의 극치에 이르기를 희구한 것으로 인식된다.
여러 변용 과정을 거치면서 결국 이 지상에 단 하나 남을 결 고운 그릇이기를 갈망한다.
이렇듯 '그릇'은 언어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 실존적인 철학을 내재한 튼실한 시편이다.
존재론적 탐색이 돋보인다.
이정환(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