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로 옮겨오는 12개 공공기관 직원들이 지역 '골목경제'에 미칠 영향은 연간 660억 원가량으로 추산됐다. 또 대구지역 공공기관 착공을 통해 약 1조 원의 민간자본 건설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강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은 24일 오후 대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지역사회의 여론은 정치가 아니라 '먹고사는 문제'"라며 "지역이 먹고사는 문제라면 힘 닿는 데까지 경제회생의 심부름꾼이 되겠으니 나를 활용해 달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수석은 "대구로 이전될 12개 공공기관 직원들의 연소득이 1천30억 원"이라며 "이를 통계청의 평균 가계수지에 대입할 때 대구에서 연간 660억 원가량을 소비하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 수석에 따르면 대구 공공기관 직원들의 연간 소비액은 △식료품 구입비 165억 원 △교통 통신비 115억 원 △교육비 83억 원 △문화·유흥비 40억 원 △의류 구입비 38억 원 △의료비 30억 원 등이라는 것. 또 대구로 이전할 교육인적연수원의 연수자 숙식비가 연간 21억 원, 중앙신체검사소 신검 방문자의 연간 소비액이 3억 원가량이라고 했다. 이 수석은 "공공기관이 입지하는 지역에는 소매점, 학원, 식당, 술집 등 서민 경제의 주축을 이루는 업종이 활황을 띠고, 관련 단체와 업체까지 이전할 때 골목경제 부양효과는 훨씬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 유치와 관련, 이 수석은 "특별지원금 3천억 원, 연간 폐기물 반입수수료 50억~100억 원,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이전 등을 감안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최소 3조6천억 원"이라며 "방폐장 유치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찬성률이 다른 지역보다 0.1%라도 높아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방폐장이 △8월 말까지 유치신청 △주민투표 요구 및 투표 발의 △투표 및 부지선정 등의 절차를 거쳐 이르면 11월쯤 부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지역경제 회생과 관련, "지역업계의 건의사항을 선(先) 수렴해 다음달 2일 관련 중앙부처의 대안을 마련해 오겠다"며 "상공인들과의 정책간담회는 단순히 듣는 자리가 아니라 '보따리를 푸는' 자리로 만들겠다"고 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